학술논문
게임산업과 패션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 사용자 캐릭터 선택에 대한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이용수 15
- 영문명
- A Study on Collaboration of Game Industry and Fashion Brands - User Satisfaction About to Choose Game characters -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한지현(Han, Ji Hyun) 김선철(Kim, Sun Chul)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19 No.2, 1~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전하는 시대 속에 게임의 위치와 게임 유저들의 니즈가 변해가는 것에 어떻게 하면 더 만족감을 줄수 있을 것인가 와 게임 속의 패션 속에 실제 패션브랜드가 접목이 되었을 때 기대되는 효과와 가능성, 유저들의 만족감을 연구하고자 출발한 연구이다. 게임 산업과패션산업은 그 동안 보이지 않은 부분에서 많은 교집합이 있다. 캐릭터 디자이너들의 참고하는 것, 혹은 스타일들이 패션산업 내에선 보다 더 전문화 되어 있고, 체계적이며, 역사를 지니고 있다. 게임 내에 가상공간의 모습이 점점 더 구체화 되고, 유저들의 원하는 게임 캐릭터의 모습이 세밀해 지면서 게임 산업 내에 패션브랜드가진출하여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소비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더 넓어지게 하여 얻을 수 있는 만족감에 관하여 연구 할 계획이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n the era of development, if How to be the needs of the position and the game user of the game will change, and I wonder if it is possible to give more satisfaction, in the game Fashion in, which is the actual effect and the possibility that the fashion brand is expected when it is fusion, starting with trying to research the satisfaction of user research. Game industry and the fashion industry, there has been a lot of logical product in the portion that is not visible in it. That the reference of the character designer, or style has been more professional in the fashion industry, is a systematic, has a history. The state is increasingly embodied in the virtual space in the game, the character of the appearance of the desired game of the user becomes fine, the consumer through a collaboration to advance the fashion brand in the game industry is the width that can be selected it is planned to study the satisfaction that can be made more widel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가구 대표기업의 업사이클링 적용 현황에 관한 연구
- 7차 교육과정의 미술교과 교실에 관한 연구- 중학생들에게 미치는 교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19 No.2 목차
- 게임산업과 패션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 사용자 캐릭터 선택에 대한 만족도에 관한 연구 -
- 중학교 자유학기제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학교연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 휠체어 장애인의 공중 화장실 이용에 대한 고찰-1호선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 Hand Hooking을 활용한 의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포츠웨어 브랜드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데상트’와 ‘나이키’의 소비자 인식을 중심으로-
- 서울특별시 북촌 한옥 카페의 현황 분석- 북촌로와 삼청로를 중심으로 -
- 국내 에스닉 레스토랑(ethnic restaurant) 현황의 관한 연구
- 한옥 마을 브랜드 현황에 관한 연구
-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