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7차 교육과정의 미술교과 교실에 관한 연구- 중학생들에게 미치는 교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이용수 10
- 영문명
- A Study on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The Art Curiculum Classroom, Around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Classroom on Middle School Students -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박은규(Park, Eun Kyoo) 장광집(Chang, Kwang Chib)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19 No.2, 19~2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0년부터 전국적으로 확산된 교과교실제가본 목적에 맞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한 연구이다. 교실은 학생들의 교육적 심리적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교사의 교수·학습 및 흥미도 유발 등에 영향을 주므로 교육환경에서 보다 중요한 역할을 감당한다.
이러한 교실과 학생·교사의 관계를 7차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교과교실제를 통해 환경의 영향력에 대해 밝혀내고자 한다. 교과교실제의 시설과 교구를 중심으로 다루어지며, 이 요소들을 분석하여 교육과정과 학생들의 활동영역 등이 어떻게 다른지 도출할 것이다. 특히 미술교과는 학생중심의 활동적 교육이 진행되어야 하는 교과로서, 선행 문헌과 교육부에서 지정한 운영 방안 등을 비교 분석하여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 교과교실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하여 미술 표현활동을 능동적으로 이끌 수 있는 교실 환경의 구성에 대한 연구이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 research nationally diffused subject classroom from 2010 I was starting from whether the question has been leverage looks to match.
Classroom, educational of students, not only give a psychological impact, to influence, such as teacher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interest also induc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plays a more important role. In cooperation the relationship of these classrooms and students and teachers and 7 primary education curriculum and Serve to clarify the impact of the environment through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Are treated at the center of the facility and the parish of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by analyzing these elements, such as curriculum and student activities area is how different to derive either. Especially as the subject of art subject is that must be done by a vigorous education of the student center, I was trying to figure out the actual situ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of such prior art and management scheme that has been specifi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Accordingly, in the present study,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the art curriculum classroom, around the 7th curriculum is the study of the structure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that can lead to aggressive art expressiv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가구 대표기업의 업사이클링 적용 현황에 관한 연구
- 7차 교육과정의 미술교과 교실에 관한 연구- 중학생들에게 미치는 교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19 No.2 목차
- 게임산업과 패션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 사용자 캐릭터 선택에 대한 만족도에 관한 연구 -
- 중학교 자유학기제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학교연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 휠체어 장애인의 공중 화장실 이용에 대한 고찰-1호선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 Hand Hooking을 활용한 의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포츠웨어 브랜드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데상트’와 ‘나이키’의 소비자 인식을 중심으로-
- 서울특별시 북촌 한옥 카페의 현황 분석- 북촌로와 삼청로를 중심으로 -
- 국내 에스닉 레스토랑(ethnic restaurant) 현황의 관한 연구
- 한옥 마을 브랜드 현황에 관한 연구
-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