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자유학기제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학교연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이용수 41
- 영문명
- A Study on Middle School’s Free Semester System - Focusing on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for Collaboration with School Education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정회숙(Jeong Hoisook) 장광집(Chang Kwang Chib)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19 No.2, 9~1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09년 개정 7차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진로탐색 교육을중요시하는 분위기가 점차 형성되고 있다. 자유학기제는청소년들의 꿈과 끼를 찾아주는 학생 참여 유형의 교육과정으로, 진로탐색 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체험활동을운영하는 제도이다.
미술관은 그 개념 자체에 ‘교육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교육과 동일한 맥락을 가지고 있는데, 최근에는 미술관 그 자체로서 교육기관의 역할을 수행하기때문에 미술관의 교육적 역할과 성격이 확장되고 다변화되어 공공교육 및 평생학습의 장으로 점차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미술관과 같은 전문적인 기관을 탐구 및 분석한 데이터를 현재 학교 미술교육 현장에 적용시켜 초중고 전반에 걸친 진로탐색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학교 한 학급의 인원을 대상으로 실제적인학교연계 프로그램을 보유한 미술관 중 국립현대미술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중등 미술 진로교육과의 연관된 맥락을 파악하고, 자유학기제 취지에 맞는 국립현대미술관의 교수-학습 및 계획 수립 방법을 분석하여 미술기관과 교육 현장의 연계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7th art curriculum that was revised in 2009, atmosphere that education and career exploration are important gradually formed. Free semester system is a type of student participation training course. This particular system helps find the dreams and talents of teenaged students. Also, it operates a variety of experiential activities, including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Museum and public education has the same context that implies 'educational' of the concept itself. In recent years, in order to perform the role of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e educational role and the diversifying personality of the museum has been extended, the museum itself is gradually evolving as an educational venue where public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takes place. therefore, the data analyzed and studied by the specialized agencies, such as the art museum, should be applied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This data will help the overall school career exploration.
In this study, I analyzed a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s junior high school Free Semester System. By understanding the relevant context of the secondary art career education, for purpose of Free semester system, I want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junior high school education program cooperating with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s Junior high school education by analyzing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s planning and learning metho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가구 대표기업의 업사이클링 적용 현황에 관한 연구
- 7차 교육과정의 미술교과 교실에 관한 연구- 중학생들에게 미치는 교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19 No.2 목차
- 게임산업과 패션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 사용자 캐릭터 선택에 대한 만족도에 관한 연구 -
- 중학교 자유학기제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학교연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 휠체어 장애인의 공중 화장실 이용에 대한 고찰-1호선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 Hand Hooking을 활용한 의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포츠웨어 브랜드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데상트’와 ‘나이키’의 소비자 인식을 중심으로-
- 서울특별시 북촌 한옥 카페의 현황 분석- 북촌로와 삼청로를 중심으로 -
- 국내 에스닉 레스토랑(ethnic restaurant) 현황의 관한 연구
- 한옥 마을 브랜드 현황에 관한 연구
-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