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가구 대표기업의 업사이클링 적용 현황에 관한 연구
이용수 23
- 영문명
- A Study on The Application Upcycling State of The Domestic Representative Furniture Firm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이준영(Lee, Jun Young) 장광집(Chang, Kwang Chib)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19 No.2, 65~7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환경오염에 대한 심각성으로 자원순환을 목적으로 하는업사이클링 개념이 하나의 친환경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활성화 된 분야인 업사이클링 가구에 대해 조사하였다. 국내는 관련 산업이 아직 초기단계로 정부의 여러 지원 정책이 시행되고 있지만 관련 기업들은 대체로 영세하다.
그래도 그 중 잠재가능성이 큰 업사이클링 가구 기업 조사 결과 지속가능한 경영 철학을 바탕으로 폐가구들을수거, 해체, 가공하여 제품을 만들고 있었다. 이 조사를 기준으로 현재 가구 시장을 선도하는 대표기업들의 친환경 정책들과 그 중 대표기업의 제품에 업사이클링 개념을 적용하는지 분석해보았는데 새집증후군이 이슈화 된이후로 친환경 자재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그나마 리바트는 업사이클 개념을 적용하여 제품으로 만들었고 에이스는 해외 유명 업사이클링 가구를 유통하고있지만 미약하다. 정부의 지원과 소비자들의 인식의 변화가 업사이클링 가구산업의 환경을 만들고 대표기업들이 필요성을 인식해야한다.
영문 초록
Upcycling is a relatively new concept of eco-friendly design. This study aims to research upcycling furniture industry as it is one of the most robust fields. The domestic upcycling industry is on the baby step. so The government enforce the supporting upcycling policy for the industry. Although related companies are almost small, there are some companies have potential possibility. They create the furnitures based on the sustainable management philosophy. Based on this standards, I researched the application upcycling state of the representative furniture firm. But they focus on the eco-friendly material after sick house syndrome. At least Livart applies the upcycling concept and make the related products. ACE distributes the famous upcycling furniture from foreign brands. But these facts can't meet the upcycling market. it is important for upcycling market that the supporting policy for upcycling and changes of consumer awareness. As a result, this environment can make representative furniture firms focus on the upcycling marke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가구 대표기업의 업사이클링 적용 현황에 관한 연구
- 7차 교육과정의 미술교과 교실에 관한 연구- 중학생들에게 미치는 교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19 No.2 목차
- 게임산업과 패션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 사용자 캐릭터 선택에 대한 만족도에 관한 연구 -
- 중학교 자유학기제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학교연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 휠체어 장애인의 공중 화장실 이용에 대한 고찰-1호선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 Hand Hooking을 활용한 의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포츠웨어 브랜드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데상트’와 ‘나이키’의 소비자 인식을 중심으로-
- 서울특별시 북촌 한옥 카페의 현황 분석- 북촌로와 삼청로를 중심으로 -
- 국내 에스닉 레스토랑(ethnic restaurant) 현황의 관한 연구
- 한옥 마을 브랜드 현황에 관한 연구
-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