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패션 라이프스타일이 패션 렌탈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1
- 영문명
- The Effect of Fashion Lifestyle on Usage Intention of Fasion Rental Service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양희순(Yang, Hee Soon) 윤시온(Yun, Si On) 강수빈(Kang, Su Bin) 장예지(Jang, Ye Ji) 김수정(Kim, Su Jeong)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1 No.2, 67~7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사회에 공유경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자동차 및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패션 제품에 대한 렌탈 서비스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이러한 패션 렌탈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패션 렌탈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초기연구로 패션 라이프스타일이 패션 렌탈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이다. 20,30대 여성을대상으로 215개의 데이터가 수집되었으며, 기술통계, 요인분석, 군집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이 수행되었다. 본연구의 결과는 첫째, 패션 라이프스타일은 유행추구, 사교추구, 가치추구 3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패션 라이프스타에 따른 패션 렌탈 서비스 이용의도의차이는 트렌드 추구 집단과 사교가치 추구집단의 이용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패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하여 패션 렌탈 서비스의 전략을 시행해야 한다.
영문 초록
As the awareness of the shared economy has increased in the modern society, the rental service phenomenon has emerged not only for automobiles and household appliances but also for fashion product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consumer research on this fashion rental ser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shion lifestyle on usage intention of fashion rental service. Our 215 data were collected for women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For the analysis, SPSS 24.0 was used to conduct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ashion lifestyle was extracted with three factors: pursuit of trend, pursuit of value and a social pursuit. Second, the fashion lifestyle was classified into three clusters: a trend-seeking group, an apathy group and a social value-seeking group.
Finally, According to the fashion lifestyl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tention to use the fashion rental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fashion lifestyle of consumers to increase usage intention of fashion rental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shion lifestyle on consumers' intention to use fashion service and to present strategic direction of fashion rental servic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체호프 극에 나타난 예언 장치 ╶ 「갈매기」, 「세 자매」, 「벚나무 동산」을 중심으로╶
- 지방자치단체 협력모델 연구: 갈매양묘장 사례
- 1인 주거 공간의 수납가구 현황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강남역 역세권의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 유리조형에서 신화적 이미지를 차용한 가면작품에 대한 연구 ╶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 뮤지컬에 나타난 반연극 특성 연구 ╶ 뮤지컬 ‘맨 오브 라만차’를 중심으로╶
- 가상현실을 활용한 전시공간 현황에 관한 연구
- 의약품 접근성 향상을 위한 24시간 무인거래 시스템 제안 ╶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키오스크 기능을 중심으로╶
- 자동차 라인 업 모델 확대 전략에 대한 연구 ╶ 디자인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1 No.2 목차
- 패션 라이프스타일이 패션 렌탈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