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방자치단체 협력모델 연구: 갈매양묘장 사례
이용수 21
- 영문명
- A Study of Cooperation Model for Local Governments: A case of Galmae Tree Nursery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강상준 김진오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1 No.2, 52~57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금껏 여러 지방자치단체 상호간 협력이나 조정은 주로폐기물처리장, 화장장 등 주민혐오시설의 입지분쟁 등 환경적 관점에서 주로 다루어져왔다. 하지만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간 상호협력을 통한 공공서비스 창출이라는보다 긍정적인 시도로 지방자치단체 상호협력에 있어 작지만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 관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록 서울시소유 시설이나 서울시가 아닌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하고있는 갈매 양묘장의 효율적 활용을 목표로 행정적 제약을 극복하고 서울 수도권 시민들의 공공서비스 질적 향상을 위한 지자체간 협력 모델을 모색하고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 서울시와 구리시간의 협력을 통해갈매양묘장을 수목원 또는 일반인 상시 개방 형태의 도심 숲의 형태로 발전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두 번째 협력 방안으로는 양묘장이라는 공간을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양묘장이라는 생산 공간을 활용하여 시민정원사 등 인증제도와 직업 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지역사회의 일자리창출을 도모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So far, the cooperation or adjustment efforts between local governments have been focused on the issues regarding mostly nuisance public facilities such as waste or crematory facilities. This study, however, is dealing with a favorable public facility that provides much more positive public service through the cooperaton between local governments. It would be a desirable model for local government’s cooperation cas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and propose such a positive cooperation model between local governments for the productive use of Galmae tree nursery owned by the City of Seoul but located in the City of Guri, Gyeonggi-do. For this study we reviewed literature extensively and conducted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persons from the two local governments in charge of planning and managing Galmae Tree Nursery. As a study result, we suggest the following three cooperation strategies for effective use of Galmae Tree Nursery. First, it would be productive to designate the Galmae Tree Nursery as a urban park so that it can meet multi-functions of tree nursery and public amenity. Second, the both Seoul and Guri cities need to operate a variety of education programs using resources from the nursery. Finally Galmae nursery can be used effectively to provide various types of jobs for the local resident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체호프 극에 나타난 예언 장치 ╶ 「갈매기」, 「세 자매」, 「벚나무 동산」을 중심으로╶
- 지방자치단체 협력모델 연구: 갈매양묘장 사례
- 1인 주거 공간의 수납가구 현황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강남역 역세권의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 유리조형에서 신화적 이미지를 차용한 가면작품에 대한 연구 ╶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 뮤지컬에 나타난 반연극 특성 연구 ╶ 뮤지컬 ‘맨 오브 라만차’를 중심으로╶
- 가상현실을 활용한 전시공간 현황에 관한 연구
- 의약품 접근성 향상을 위한 24시간 무인거래 시스템 제안 ╶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키오스크 기능을 중심으로╶
- 자동차 라인 업 모델 확대 전략에 대한 연구 ╶ 디자인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1 No.2 목차
- 패션 라이프스타일이 패션 렌탈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