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약품 접근성 향상을 위한 24시간 무인거래 시스템 제안 ╶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키오스크 기능을 중심으로╶
이용수 24
- 영문명
- Proposal of a 24-Hour Unmanned Trading System to Improve Drug Accessibility ╶ Based on Kiosk Functionality Interlinked with Dedicated Applications╶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김정현(Kim, Jeong Hyun) 이동민(Lee, Dong Min)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1 No.2, 44~51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4시간 운영하는 약국의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적절한 정책이 시행되지 못한 원인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현재 시행중인 심야시간대 의약품 판매정책의 분석에서, 전국의 모든 약국이 24시간 운영한다고 가정할 경우 거대한 예산과 인력비용이 발생한다는점이 가장 큰 원인으로 도출되었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인력과 예산의 최소화가 가능한 키오스크에 자동판매기능을 결합하여, 일반의약품에 한해 시간제약 없이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중점적으로 실현하고자 했다.
더불어 불시 발작증상으로 인해 의약품 접근성 향상이반드시 필요한 질환으로서 ‘통풍’을 선정하여 통풍질환자만을 대상으로 전문의약품 판매가 가능토록 하는 기능을구축함과 동시에 현재 복약지도방식의 한계를 보완한 기능을 추가하여 오남용 등의 문제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애플리케이션은 키오스크와 연동함으로서 상호간 이용이력이 자동 업데이트되며, 이를기반으로 모바일기기를 통한 맞춤형 복약지도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ies why a proper policy is not proposed despite the constant need for a 24-hour pharmacy and offers a solution. I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policy of selling drugs late at night, assuming that all pharmacies in the country operate 24-hours a day, the biggest limitation is the huge budget and labor cos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tried to realize a system that can deal with then non-prescription medicine only without time limit by combining the kiosk with the automatic sales function which can minimize the manpower and the budget. A disease that must take medicine due to the possibility of a sudden seizure was selected gout.
Therefore, we have built a function to enable the sale of prescription medicine to patients with Gout disease. In addition to the transaction function, the function of supplementing the limitation of the conventional drug guidance method was added to prevent the problems such as abuse of the drug more effectively. The application interacts with the kiosk, and the usage history of each other is automatically updated. Based on this, the focus is on enabling customized drug guidance support through mobile device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체호프 극에 나타난 예언 장치 ╶ 「갈매기」, 「세 자매」, 「벚나무 동산」을 중심으로╶
- 지방자치단체 협력모델 연구: 갈매양묘장 사례
- 1인 주거 공간의 수납가구 현황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강남역 역세권의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 유리조형에서 신화적 이미지를 차용한 가면작품에 대한 연구 ╶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 뮤지컬에 나타난 반연극 특성 연구 ╶ 뮤지컬 ‘맨 오브 라만차’를 중심으로╶
- 가상현실을 활용한 전시공간 현황에 관한 연구
- 의약품 접근성 향상을 위한 24시간 무인거래 시스템 제안 ╶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키오스크 기능을 중심으로╶
- 자동차 라인 업 모델 확대 전략에 대한 연구 ╶ 디자인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1 No.2 목차
- 패션 라이프스타일이 패션 렌탈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