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상현실을 활용한 전시공간 현황에 관한 연구
이용수 38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Exhibition Space Using Virtual Reality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정현규(Jeoung, Hyun Gyu) 장광집(Chang, Kwang Chib)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1 No.2, 58~66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의 전시는 텍스트와 디스플레이가 주가 되는 전시형태에서 점점 관람객의 참여를 통한 전시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기존 미디어에서 더 발전된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해 가상현실에서의 상호 작용 기법의 적용은 현실의 이야기가 되었다. 특히 전시 연출매체 중 가상현실 기술은 가상공간에서 일어나는 실제적인 경험을 관람객이 직접 체험함으로써 전시에 대한 몰입도및 만족도의 증대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가상현실을 활용한 대표적 전시공간의 실태조사와관람자 설문조사 분석 등을 통해 가상현실을 적용한체험 전시관에서 신체를 활용한 몰입형 가상현실 시스템 형태가 가장 큰 점수를 얻었음을 확인하고 향후 가상현실을 기반한 체험형 전시공간을 기획할 때 보다효과적인 전시 방법을 위한 연구에 참고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영문 초록
Unlike the past, today's exhibition is changing from traditional display of text and display to display of participation through increasing participation of visitors.
Due to the development of advanced digital technology in existing media, the application of interactive techniques in virtual reality has become a reality story, not a future story. In particular, virtual reality technology among the exhibition directing media is expected to affect the immersion and satisfaction of exhibition by experiencing the actual experience that takes place in the virtual space. Therefore, the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using the body in the exhibition hall that applied virtual reality through the surveys survey of the museum, which is a representative exhibition space utilizing virtual reality. Virtual reality technology will become an indispensable technology, not a display assistant technology as an incidental el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develop research contents such as exhibition contents development and idea presentation that can bring out the best suitable combination between the main features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exhibition theme. I would like to be a reference material for research to improve exhibition methods more effectively when planning an experiential exhibition space based on virtual reality in the futur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체호프 극에 나타난 예언 장치 ╶ 「갈매기」, 「세 자매」, 「벚나무 동산」을 중심으로╶
- 지방자치단체 협력모델 연구: 갈매양묘장 사례
- 1인 주거 공간의 수납가구 현황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강남역 역세권의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 유리조형에서 신화적 이미지를 차용한 가면작품에 대한 연구 ╶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 뮤지컬에 나타난 반연극 특성 연구 ╶ 뮤지컬 ‘맨 오브 라만차’를 중심으로╶
- 가상현실을 활용한 전시공간 현황에 관한 연구
- 의약품 접근성 향상을 위한 24시간 무인거래 시스템 제안 ╶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키오스크 기능을 중심으로╶
- 자동차 라인 업 모델 확대 전략에 대한 연구 ╶ 디자인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1 No.2 목차
- 패션 라이프스타일이 패션 렌탈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