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인 주거 공간의 수납가구 현황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강남역 역세권의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이용수 9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Storage Furniture in Single-person Residential Space ╶ Focused on Officetel in Gangnam Station, Seoul╶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김수홍(Kim, Soo Hong) 김희주(Kim, Hee Joo) 장광집(Chang, Kwang Chib)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1 No.2, 8~18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 사회는 급속도로 진행된 산업화와 도시화의 영향으로 1인 가구가 계속해서 급증하고 있다. 1인 가구의 증가와 함께 소형 주택을 선호하는 사람들 또한 증가 하였다. 이에 따라 소형 주거 공간에 맞는 효율적인 공간 구조와 차별화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1인 가구의 사회 현상과 현황에 관한 이론적 고찰 후수납가구의 종류 및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이후 일정한조건의 주거 공간에서 면적 구성비율과 공간 활용 요소를 중심으로 수납가구의 적용현황을 조사하여 1인 가구수요에 충족하는 수납가구의 핵심 특성을 도출한다. 조사와 분석을 통해 드러난 공간 활용 요소는 다기능과 겹침, 변형 등이 있었고 이러한 요소들이 많을수록 가구의기능성과 실용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통해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수납가구의 트렌드를 파악하고, 변화하는 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디자인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Currently, society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effect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s a result, the number of single person households living alone is continuously increasing. Along with the increase of single person households, people who prefer small houses have also increased.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n efficient space structure and a different apparatus suitable for a small residential space. In this study, we first look at the social phenomena and status of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then look at the types and status of storage households. After I have studied all of these, focuses on the ratio of area the application status of storage households with regard to the area composition ratio. And the spatial utilization factor were investigated to derive key characteristics of storage households meeting the demand of one person's households. The spatial utilization factors that were revealed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included multi functional overlaps and variations, and the more these factors suggest that the more functional and practical the household.
Therefore, in this paper, we try to understand the trend of storage furniture for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propose a direction of design development that fits the lifestyle of a single pers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체호프 극에 나타난 예언 장치 ╶ 「갈매기」, 「세 자매」, 「벚나무 동산」을 중심으로╶
- 지방자치단체 협력모델 연구: 갈매양묘장 사례
- 1인 주거 공간의 수납가구 현황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강남역 역세권의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 유리조형에서 신화적 이미지를 차용한 가면작품에 대한 연구 ╶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 뮤지컬에 나타난 반연극 특성 연구 ╶ 뮤지컬 ‘맨 오브 라만차’를 중심으로╶
- 가상현실을 활용한 전시공간 현황에 관한 연구
- 의약품 접근성 향상을 위한 24시간 무인거래 시스템 제안 ╶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키오스크 기능을 중심으로╶
- 자동차 라인 업 모델 확대 전략에 대한 연구 ╶ 디자인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1 No.2 목차
- 패션 라이프스타일이 패션 렌탈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