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뮤지컬에 나타난 반연극 특성 연구 ╶ 뮤지컬 ‘맨 오브 라만차’를 중심으로╶
이용수 47
- 영문명
- A Study on the Anti-theatre Characteristic in the Musical ╶ Focused on Musical Man Of La Mancha╶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신동아(Shin, Dong A) 김학민(Kim, Hak Min)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1 No.2, 1~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맨 오브 라만차〉에 나타나는 반연극의 특성을 서사극과 부조리극, 메타극의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반연극 특성은 관객의 감정이입과 몰입을 거부하고 관객의 객관적인 사고를 유도하는 극으로, 관객과 무대의 능동적 소통을 가능케 하고 관객으로부터 무대 위의 사건을 통해 비판적 사고와 능동적 사유를 하게 한다. 본 연구는 20세기에 나타나는 이러한 관객의 주체적 변화를<맨 오브 라만차>에 나타나는 서사극, 부조리극, 블랙코미디, 메타극의 요소 분석을 통해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는 이 작품에 나타나는 반연극의 여러 실험형태들 중 무대와 관객의 ‘거리 두기’와 서사적 인물을 통해 서사극적 요소를 살펴보고, ‘낯설게 하기’와 ‘순환적 구성’의 극장치를 통해 부조리극 요소를 살펴볼 것이다. 또한 비극적 웃음과 웃음이 주는 모순, 웃음이 주는 철학적 세계관을 통해 블랙 코미디적 요소를 살펴볼 것이며, 마지막으로 ‘해체된 삽입형식의 극중극’ 구조와 인생과 무대의동일성 원리를 통해 메타극적 요소를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반연극적 특성들은 컨셉 뮤지컬 연구의 외연을 넓히고 그 한계를 넘어서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Anti-theatre characteristics of “Man of La Mancha” from the viewpoints of epic theater, absurd theater, and metatheatre. First, the elements of epic theater are investigated through ‘distancing’ between the stage and audience and the epic characters. Then, the elements of absurd theater are investigated through the theatrical devices of ‘defamiliarization’ and ‘cyclical structure.’ Furthermore, the black comedy elements in Anti-theatre are found through tragic laughter, the contradiction of laughter, and the philosophical world view of laughter from the viewpoint of absurd theater. Finally, for the metatheatre elements, the identity of life and stage is examined through the structure of “a play within a play of the disassembled insertion type.” These theaters of the modern experimental forms provide us with alternatives for overcoming problems because they deal with instructional philosophy and social issues.
Anti-theatre is characterized by rejection of the empathy and immersion of the audience and encouragement of the objective thinking of the audience. The effect of Anti-theatre is that i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audience and stage, and the audience can experience critical thinking and active reasoning through the events on the stage. This independent change of the audience has been used in epic theater, absurd theater, black comedy, and metatheatre, and allows us to have a variety of perspectives about the theater of the modern experimental form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체호프 극에 나타난 예언 장치 ╶ 「갈매기」, 「세 자매」, 「벚나무 동산」을 중심으로╶
- 지방자치단체 협력모델 연구: 갈매양묘장 사례
- 1인 주거 공간의 수납가구 현황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강남역 역세권의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 유리조형에서 신화적 이미지를 차용한 가면작품에 대한 연구 ╶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 뮤지컬에 나타난 반연극 특성 연구 ╶ 뮤지컬 ‘맨 오브 라만차’를 중심으로╶
- 가상현실을 활용한 전시공간 현황에 관한 연구
- 의약품 접근성 향상을 위한 24시간 무인거래 시스템 제안 ╶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키오스크 기능을 중심으로╶
- 자동차 라인 업 모델 확대 전략에 대한 연구 ╶ 디자인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1 No.2 목차
- 패션 라이프스타일이 패션 렌탈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