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이비붐 세대 통합적 노후준비에 따른 삶의 만족도 변화 연구
이용수 238
- 영문명
- The Longitudinal Effects of Integrated Preparation for Later life on Life Satisfaction of Baby Boomers
- 발행기관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유재남 박상희
- 간행물 정보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제46호, 121~15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통합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 변화궤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분석을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데이터 4차년도부터 7차년도 자료와 잠재성장모형 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무조건부 모형에서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만족도는 시간이 경과되면서 증가하는 패턴을 유지하다가 약간 감소하는 비선형 변화궤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건부 모형에서 경제적 노후준비와, 정서·사회적 노후준비, 신체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 변화 궤적에 미치는 영향은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적 노후준비는 삶의 만족도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서·사회적 노후준비를 하는 베이비붐 세대는 초기 삶의 만족도가높았으며 높은 삶의 만족도는 시간이 지나도 유지되는 변화궤적을 보여주었다. 신체적 노후준비를 하는 베이비붐 세대는 출발점의 삶의 만족도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시간이 경과되면서 빠르게 삶의 만족도가 증가되는 변화궤적을 보이고 있다. 자원봉사활동 증진, 평생교육, 사회적 관계망 확대, 건강증진 및 예방과관련된 정책과 서비스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ngitudinally analyze how the baby boomer generation's integrated preparation for old age affects the change trajectory of life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4th to 7th years of the National Old Age Security Panel Data and analyzed with the potential growth model analysis method.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baby boom generation, examined through the unconditional model, showed a non-linear trajectory of change, maintaining a slightly increasing pattern over time and then slightly decreasing. Second, the effects of economic preparation for old age, emotional and social preparation for old age, and physical preparation for old age, which were examined through the conditional model, on the change trajectory of life satisfaction showed different results. The baby boomer generation's economic preparation for old age did not affect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the baby boom generation who prepares for old age emotionally and socially had high life satisfaction in their early years, and the high life satisfaction showed a trajectory of change that was maintained over time. The baby boom generation, who is physically preparing for old age, showed a trajectory of change in which life satisfaction increased rapidly as time passed, although life satisfaction at the beginning was in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a proposal was made to promote volunteer activities and lifelong education, expand social networks, and policies and services related to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