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취업 장애인의 대인관계 및 장애수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79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isability Acceptance on Self-Esteem of Unemployed Disabled Peopl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Multiple Group Comparison Analysis of Disability Degree
- 발행기관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허세미 이예나
- 간행물 정보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제46호, 39~6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취업 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취업 장애인의 대인관계 및 장애수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장애정도(중증, 경증)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고자 다중집단비교를 진행하였다. 분석자료는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6차 자료를 사용하였고, 비경제활동인구 중 본 연구의 주요 변수에 응답한 패널 1,579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취업 장애인의 자아존중감은 이들의 대인관계와 장애수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동시에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받았다. 둘째, 대인관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가 경증장애인에 비해 중증장애인에서 더 큰 것으로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장애수용,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증진에 대한 프로그램, 정책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and willingness to work for the unemployed disabled people.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isability acceptance of employed disabled people on self-esteem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ere verified. A multi-group comparison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sability (severe and mild). For the data analysis, the 2nd wave 6th data of the employment, a panel survey for the disabled was used. Among the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1,579 panelists who responded to the main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esteem of unemployed disabled people was directly affected by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isability acceptance and indirectly affected by self-efficacy. Second,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self-efficacy was greater in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than in people with mild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rograms and policies on disability accepta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efficacy improvement were proposed to improve self-este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