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예능프로그램의 중국 현지화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99
- 영문명
- Influencing Factors of Satisfaction with Korean Entertainment Programs: Focus on Localization in China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곽문화 이원희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1권 제1호, 93~9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존의 한국 예능프로그램 중국 수출에 대한 연구는 주로 한국 오리지널 콘텐츠에 대한 해외 시청자의 인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포맷수출을 고려한 현지화 콘텐츠 제작 현황을 비교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오리지널 예능, 현지화된 중국 예능, 중국 오리지널 예능 프로그램을 별도로 분리하고 시청자 만족도에 미치는 예능프로그램 포맷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위의 세 가지 유형의 콘텐츠를 모두 시청한 136명의 중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시청자 만족도에 미치는 변수를 통제변수와 독립변수로 나누었다. 통제변수는 성별, 연령, 학력, 직업변수로 구성하고 독립변수는 주제특성, 제작특성, 출연진특성을 포함하여 세 가지 유형의 예능콘텐츠 시청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국 오리지널 예능, 중국화된 한국 예능, 중국 오리지널 예능의 시청만족도에 미치는 프로그램 특성요인은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오리지널 예능이나 중국화된 한국 예능과 같이 한국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 출연진이 모두 중요하였으며, 중국화된 한국 예능이나 중국 오리지널 예능과 같이 중국에서 제작되는 경우 제작기술은 시청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한국 오리지널 예능 프로그램을 제작할 때는 중국 시청자들이 좋아하는 연예인 및 스타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기획할 필요가 있으며 포맷수출을 통하여 중국화 프로그램을 제작할 때도 출연진 선택에 우선순위를 두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Existing research on Korean entertainment program exports to China mainly focuses on overseas viewers' perception of Korean original content, so there is a limit to comparing the current status of localized content production considering format export. In this study, programs of Korean original entertainment, localized Chinese entertainment, and Chinese original entertainment were separa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ntertainment program formats affecting viewer satisfaction were analyzed.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36 Chinese people who watched all three types of content. The variables affecting viewer satisfaction were divided into control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s. The control variables consisted of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occupational variable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viewing three types of entertainment cofiguration, including subject, production, and cas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programs on viewing satisfaction of Korean original entertainment, Chineseized Korean entertainment, and Chinese original entertainment are different. The cast was all important when it was based on Korean content such as Korean original entertainment or Chineseized Korean entertainment, and when it was produced in China such as Chineseized Korean entertainment or Chinese original entertainment, the production technolog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viewing satisfaction. When producing original Korean entertainment programs, it is necessary to plan programs centered on celebrities and stars that Chinese viewers like, and a strategy to prioritize the selection of cast members is needed when producing Chinese programs through format export.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모형
IV. 연구결과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표본 크기와 정규성이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경로계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온라인 뮤지엄 샵의 문화 상품 발전 방향
- 야간경제·관광 활성화 요인이 야간 문화재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 예능프로그램의 중국 현지화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K-콘텐츠 제목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기반한 모바일 페이먼트의 지속사용의도: 신뢰 전이 이론을 중심으로
- 중소기업의 정보화 환경에 따른 경영성과 연구
- 버티컬 플랫폼 충성도의 결정요인
- 죽음불안이 종신보험 가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승객 특성과 드론 택시 이용의도
- 이슬람 문화권에서의 문화전이효과
- Kano 모델과 고객만족계수 기반 음악앱의 기능 및 서비스 개선 요구 분석
- 문화상품 선호도에 따른 기업 브랜드 선호도와 충성도에 관한 연구
- 대·중소 물류기업의 상생 및 발전 전략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