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상품 선호도에 따른 기업 브랜드 선호도와 충성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61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Loyalty of Corporate Bran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Cultural Products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김혜란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1권 제1호, 45~5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국인들의 한국의 다양한 문화상품들에 대한 선호도가 한국의 기업 브랜드 선호도와 충성도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영국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사전 테스트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수집된 온라인 설문 응답들은 총 142부였고 이를 SPSS 등을 사용하여 관계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한국 문화상품들 중 가장 활발한 세계시장 진출을 하고 있는 문화상품으로 영화, 드라마, 음식, 가요를 선정하였고, 이들에 대한 선호도가 한국의 기업 브랜드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한국 기업 브랜드 선호도가 한국 기업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보고 추가적으로 소비자의 성별에 따른 문화상품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았다. 검증결과, 첫째, 문화상품 선호도는 연구모델과 같이 전체 4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한국문화상품에 대한 영국소비자들의 선호도는 한국기업브랜드에 대한 선호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가장 영향력이 강한 것은 한국가요에 대한 선호도로, 한국기업 브랜드 선호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쳤다. 한국기업브랜드에 대한 선호도는 구매의향 등을 포함한 브랜드 충성도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남녀 소비자간 문화상품에 대한 선호도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의 문화상품들이 한국기업에 가져다 줄 수 있는 경제적 영향력을 아시아권이 아닌 서양문화권에서 확인한 연구로, 단순히 상품의 수준을 넘어 문화상품의 의미가 국가 경제에유의미한 파급효과를 이끌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하겠다. 궁극적으로 문화상품은 국가브랜드 이미지 향상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 국가, 문화, 기업의 상호간 협업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의 기여가 있다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pre-test survey of British consumers to examine whether foreigners' preferences for various cultural products in Korea affect corporate brand preferences and loyalty in Korea. A total of 142 online survey response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and the relationship was investigated using SPSS. First, movies, dramas, food, and songs were selected as the most active cultural products entering the global market among Korean cultural products, and whether their preferenc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n corporate brand preferences was examined. We then analyzed whether Korean corporate brand preferences affect Korean corporate brand loyalty, and additionally identifi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cultural product preferences according to consumers' gender.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first, cultural product preference was derived as a total of four factors, such as the research model, and it was found that British consumers' preference for Korean cultural produc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reference for Korean corporate brands. Among them, the most influential was the preference for Korean songs, which had the most influence on the preference for Korean companies' brands. The preference for Korean corporate brand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loyalty, including purchase intention, and showed high explanatory power. This study confirmed the economic influence of Korean cultural products on Korean companies in Western cultures, not in Asia, and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s that the meaning of cultural products can lead to a significant ripple effect on the national economy.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실증분석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표본 크기와 정규성이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경로계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온라인 뮤지엄 샵의 문화 상품 발전 방향
- 야간경제·관광 활성화 요인이 야간 문화재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 예능프로그램의 중국 현지화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K-콘텐츠 제목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기반한 모바일 페이먼트의 지속사용의도: 신뢰 전이 이론을 중심으로
- 중소기업의 정보화 환경에 따른 경영성과 연구
- 버티컬 플랫폼 충성도의 결정요인
- 죽음불안이 종신보험 가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승객 특성과 드론 택시 이용의도
- 이슬람 문화권에서의 문화전이효과
- Kano 모델과 고객만족계수 기반 음악앱의 기능 및 서비스 개선 요구 분석
- 문화상품 선호도에 따른 기업 브랜드 선호도와 충성도에 관한 연구
- 대·중소 물류기업의 상생 및 발전 전략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