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온라인 뮤지엄 샵의 문화 상품 발전 방향
이용수 189
- 영문명
-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ultural Products in The Online Museum Shop: Focusing on MU:DS of The National Museum Foundation of Korea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이보람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1권 제1호, 31~3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의 뮷즈(MU:DS)의 온라인 뮤지엄 샵의 현황을 살펴보고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뮷즈(MU:DS)는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이 국립박물관의 문화 상품을 기획·개발·판매하기 위해 런칭한 브랜드로 최근 반가사유상 미니어처의 흥행과 같이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냈다. 본 논문은 국내에서 뮤지엄 문화 상품의 대중화 가능성을 이끈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의 온라인 뮤지엄 스토어 뮷즈(MU:DS)의 문화 상품을 살펴보고 뮤지엄 기관의 주요 기능인 보존·전시·교육·연구와 연계하여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비영리기관인 뮤지엄의 상업 시설에서 판매하는 문화 상품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첫째 뮤지엄 문화 상품이 지닌 의미와 역할에 대해 고찰하고, 둘째 온라인 뮤지엄 샵 뮷즈(MU:DS)에서 판매되는 문화 상품과 문화 상품 기획전을 토대로 뮤지엄 기관의 순기능과 공익성을 조사하기 위해 SWOT, GAP 분석 방식을 사용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뮷즈(MU:DS)의 문화 상품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문화 상품류의 고른 분포와 스토리텔링이 있는 문화 상품 기획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뮤지엄의 역할로 사회적 교육 기관이 강조됨에 따라 개발한 문화 상품의 모티브가 되는 유물에 관한 교육적 정보 제공 서비스가 강화되어야 하며 이러한 문화 상품 정보에 대한 상세페이지 또한 대중에게 일관성 있는 형식으로 제공하여 뮤지엄 샵의 운영이 공익을 위한 뮤지엄의 상업 활동임을 나타낼 필요가 있다. 비영리 기관인 뮤지엄이 운영하는 상업 시설인 뮤지엄 샵이 과도하게 상업적인 모습을 드러낼 경우 사회적 비판에서 자유롭기 어렵다. 때문에 뮤지엄 샵의 상업 활동은 뮤지엄 기관의 핵심 역할인 보존·전시·교육·연구와 연결되어야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뮤지엄 샵의 문화 상품 발전 방향은 사회에서 요구되는 비영리 기관으로서의 뮤지엄의 역할을 강조하여 공익을 위한 공공성의 근거를 마련하고자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online museum shop of MU:DS, the National Museum Foundation of Korea, and suggests ways to develop it. MU:DS is a brand that sells cultural products from national museums and has achieved success with products such as the miniature Pensive BodhisattvaThe study analyzes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the main functions of museum institutions: preservation, exhibition, education, and research. SWOT and GAP analysis methods are used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pose a development plan for cultural products sold in commercial facilities of museums. The study suggests that cultural product categories should be evenly prepared, and cultural products with storytelling should be planned to develop the products. Additionally, the service of providing educational information on relics that become the motif of developed cultural products must be strengthened. Detailed pages for such cultural product information should also be provided to the public in a consistent format to promote the museum shop. The commercial activities of the museum shop should be connected to the core roles of the museum institution: preservation, exhibition, education, and research. If a museum shop exhibits an excessively commercial appearance, it is difficult to be free from social criticism. The study emphasizes the role of museums as non-profit organizations required by society, laying the groundwork for the public interest.
목차
I. 서론
II. 연구범위 및 방법
III.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의 뮷즈(MU:DS)의 문화 상품 현황
IV.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의 뮷즈(MU:DS)의 문화 상품 발전 방안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표본 크기와 정규성이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경로계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온라인 뮤지엄 샵의 문화 상품 발전 방향
- 야간경제·관광 활성화 요인이 야간 문화재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 예능프로그램의 중국 현지화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K-콘텐츠 제목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기반한 모바일 페이먼트의 지속사용의도: 신뢰 전이 이론을 중심으로
- 중소기업의 정보화 환경에 따른 경영성과 연구
- 버티컬 플랫폼 충성도의 결정요인
- 죽음불안이 종신보험 가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승객 특성과 드론 택시 이용의도
- 이슬람 문화권에서의 문화전이효과
- Kano 모델과 고객만족계수 기반 음악앱의 기능 및 서비스 개선 요구 분석
- 문화상품 선호도에 따른 기업 브랜드 선호도와 충성도에 관한 연구
- 대·중소 물류기업의 상생 및 발전 전략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