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s of Night Economy and Tourism Revitalization Factors on the Utilization of Cultural Properties at Night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김상만 정강환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1권 제1호, 77~8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도시가 아닌 문화재가 모여 있는 중소도시에서 퍼플플래그(purple flag) 핵심 의제를 중심으로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야간경제를 통한 지역경제 및 관광 활성화, 고용창출 전략을 국내 적용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가설 1의 ‘야간경제·관광 활성화 요인이 야간 문화재 활용 콘텐츠 요인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야간경제·관광 활성화 요인이 야간 문화재 활용 콘텐츠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간경제·관광 활성화 요인 ‘야간 매력성(t=4.46)’, ‘야간 안전 및 보안(t=4.06)’, ‘야간 문화재 활용 및 축제(t=9.94)’, ‘야간 관리운영 및 지원(t=2.47)’은 ‘야간 문화재 활용 콘텐츠’와 정(+)의 영향 관계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야간 편의성(t=1.06)’과 ‘야간 인증제도(t=-1.57)’는 분석결과 영향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가설 2의 ‘야간경제·관광 활성화 요인이 문화재 활용을 지원하는 서비스 요인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검증 결과는 야간경제·관광 활성화 요인이 야간 문화재 활용 콘텐츠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간경제·관광 활성화 요인 ‘야간 매력성(t=2.80)’, ‘야간 안전 및 보안(t=2.57)’, ‘야간 문화재 활용 및 축제(t=2.76)’, ‘야간 관리운영 및 지원(t=7.90)’은 ‘야간 문화재 활용 콘텐츠’와 정(+)의 영향 관계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야간 편의성(t= .82)’과 ‘야간 인증제도(t=1.47)’는 분석결과 영향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야간경제 및 야간관광 활성화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전 세계 많은 도시에서 입증되고 있다. 영국, 스웨덴, 뉴질랜드 등은 퍼플플래그와 같은 야간경제구역 설정을 통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용창출을 이루어내고 있으며, 네덜란드, 영국, 미국, 중국 등 전 세계 20개국 40여 도시에서 야간시장제도를 도입하여 어두워진 후 도시를 관리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본 연구를 통한 6가지 야간경제·관광 활성화 요인과 2가지 야간 문화재 활용 요인을 포함하는 소매 상업지역(retail)’, ‘관광과 문화재 지역(tourism and heritage)’, ‘문화예술 지역(culture)’, ‘야간경제 지역(Night Time Economy)’ 등으로 구성된 야간에 소음과 빛 공해로부터 거주민의 피해가 적은 야간경제·관광 구역의 설정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apply the revitalization of regional economy and tourism and job creation strategies domestically through the night economy which is spreading globally, focusing on the core agenda of the Purple Flag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bout the verification of research hypothesis 1, ‘The night economy and tourism activation factors will affect the night cultural properties utilization content factors’, it was found that factors of the night economy and tourism activation affect the night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content factors. Factors of the night economy and tourism activation, 'night attractiveness(t=4.46)', 'night safety and security (t=4.06)', 'night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and festival (t=9.94)', 'night management operation and support (t=2.47)', were tested for a positive (+) influence relationship with 'night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contents.' However, 'night convenience (t=1.06)' and 'night certification system (t=-1.57)' did not show any effect relationshi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bout the verification of research hypothesis 2, ‘Factors of the night economy and tourism activation will affect the service factors that support the utilization of cultural propertie,’ it was found that factors of the night economy and tourism activation affect the factors of the night time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contents. Factors of the night economy and tourism activation, 'night attractiveness (t=2.80)', 'night safety and security (t=2.57)', 'night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and festival (t=2.76)', 'night management operation and support (t=2.76)'=7.90)' were tested for a positive (+) influence relationship with 'night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contents.' However, 'night convenience (t= .82)' and 'night certification system (t=1.47)' did not show an effect relationshi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실증분석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표본 크기와 정규성이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경로계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온라인 뮤지엄 샵의 문화 상품 발전 방향
- 야간경제·관광 활성화 요인이 야간 문화재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 예능프로그램의 중국 현지화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K-콘텐츠 제목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기반한 모바일 페이먼트의 지속사용의도: 신뢰 전이 이론을 중심으로
- 중소기업의 정보화 환경에 따른 경영성과 연구
- 버티컬 플랫폼 충성도의 결정요인
- 죽음불안이 종신보험 가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승객 특성과 드론 택시 이용의도
- 이슬람 문화권에서의 문화전이효과
- Kano 모델과 고객만족계수 기반 음악앱의 기능 및 서비스 개선 요구 분석
- 문화상품 선호도에 따른 기업 브랜드 선호도와 충성도에 관한 연구
- 대·중소 물류기업의 상생 및 발전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