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현화의 희곡 <카덴자>와 <오스트라키스모스>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성

이용수 4

영문명
A Study of Heterotopic spatiality presented in Lee Hyun-hwa’s Plays - and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저자명
홍은재
간행물 정보
『순천향 인문과학논총』42권 1호, 171~20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현화의 희곡 <카덴자>(1978)와 <오스트라키스모스>(1979)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두 작품에 나타난 극적 공간을 양립 불가능한 여러 공간을 실제의 한 장소에 겹쳐놓는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으로 상정하고, 연극 공간과 사건 장소에 주목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연극 미학적 관점에서 <카덴자>의 경우 무대 공간과 객석 공간의 경계를 지우고 역사적 과거, 연극적 상황, 공연이라는 현실을 혼재하게 한다. 다음 해 발표된 <오스트라키스모스>의 경우 공연이 되지 않았지만 <카덴자>의 공간실험에서 진일보하여 극장 공간 전체를 아우르며 공연을 진행하는 극작 전략이 돋보인다. <카덴자>에서 관객은 여자관객이 연극적 상황에 차출되면서 무대 공간의 사건을 허구적 현실인 심미적 거리를 두고 대해야 하는지, 리얼한 상황, 특히 윤리·도덕적인 판단으로 연극적 사건에 개입을 해야 할지 그 자체로 모순적인 상황을 경험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관객은 연극과 현실 사이의 경계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카덴자>는 연극적 상황뿐만 아니라 ‘사회적 상황’까지 그 맥락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오스트라키스모스>는 관객이 극장의 여러 구역을 돌아다니게 계획된 희곡이다. 이것은 관객으로 하여금 공간의 다양한 위치를 점유하고, 극 안의 특정 역할을 수행하게 하는 동시에 이를 통해 상대적 관점에 대한 이해를 유도하려는 작가의 시도일 것이다. 이처럼 <카덴자>와 <오스트라키스모스>는 무대와 객석 공간의 허물어 일상과 비일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성을 통해 관객이 연극적 사건을 경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여 현실에 대한 지각과 인식에 대해 새로운 사유와 반성적 사유를 유도한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ostulated the theatrical space presented in Lee Hyun-hwa’s plays―(1978) and (1979), which were the analysis subjects, for the heterotopic space that overlaps incompatible places in an actual place and investigated it with a focus on the play space and the event place. From a theatrical aesthetic point of view, erases the boundary between the stage space and the auditorium space and mixes the historical past, theatrical situation, and the reality of performance. Though released the following year was not brought onto the stage, it advanced the spatial experiment of and showed a theatrical strategy for the performance embracing the entire theater space. As a female audience is dragged out into a theatrical situation in , the audience experiences a contradictory situation due to whether the event on the stage space should be treated at an aesthetic distance or they should intervene in the theatrical event with ethical and moral judgment. In this situation, the audience experiences the boundary between the play and reality. As a result, the context of can be connected to not only the theatrical situation but also to a “social situation.” Meanwhile, is a play planned to let the audience move around the theater building, which may be Lee’s attempt to allow the audience to occupy various spots of the space and play a specific role in the play, while trying to understand the relative perspective. In this way, and can be said to induce new and reflective thoughts on the recognition and perception of reality by providing a place for audiences to experience theatrical events through heterotopic extensity that crosses the boundary between daily and non-daily as breaking down the stage and auditorium spac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연극 공간: 헤테로토피아적 사유의 공간
Ⅲ. <카덴자>와 헤테로토피아적 시ㆍ공간
Ⅳ. <오스트라키스모스>와 헤테로토피아적 전유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은재. (2023).이현화의 희곡 <카덴자>와 <오스트라키스모스>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성.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42 (1), 171-200

MLA

홍은재. "이현화의 희곡 <카덴자>와 <오스트라키스모스>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성."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42.1(2023): 171-2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