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교사들의 지식(MKT) 측정 및 분석 연구
이용수 20
- 영문명
- Measuring and Analyzing Prospective Secondary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전미현(MiHyun Jeon) 김구연(Gooyeon Kim)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25권 4호, 691~71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교사들의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이하 MKT) 수준을 검증할 수 있는 문항 개발을 확장하여서 이를 적용한 측정을 통해 중등 예비수학교사들의 MKT 수준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 수준에서 수학 영역에 대한 검사 문항을 개발하여 예비교사 54명을 상대로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이 얻은 점수를 백점 만점으로 환산 시 검사지 총점의 평균은 30.2점으로 나타났는데, 예비교사들은 대체로 문항에서 나타내는 학습 내용에 관한 지식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지 못했으며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부분과 그에 대한 정확한 설명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 방법을 제시하고 설명하는 과정에서도 내용의 본질을 충분히 담지 못하였으며 학습자에 대해서도 일반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특성을 기술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In order to measure preservice teachers’ MKT, we developed items according to Ball, Thames & Phelps (2008)’s domains and conducted to 53 preservice teachers. Also, we interviewed 1 preservice teacher with the items and a set of interview questions. The findings from the data analysis suggested as follows: a) overall, the preservice teachers scored average 30.2 out of 100; b) the preservice teachers appeared to be unable to explain students’difficulties in learning a specific mathematical idea and how they would respond to such difficulti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중등 영재학생들의 합동변환 활동에 대한 발생적 분해
- 유치원과 초등 1학년의 연계성을 강조한 수학과 교육과정의 구성 방안 연구
- 중등 예비 수학 교사의 교육철학에 대한 귀납적 분석
- 초등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수학적 과제 설계 : 기하 판 위의 정삼각형이 가능한가?
- 수÷0에 대한 초등교사의 PCK 분석
-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곡선 탐구를 통한 수학영재들의 불변량 활용에 관한 사례 연구
- 예비교사들의 지식(MKT) 측정 및 분석 연구
- 학교수학적 지식의 성장: 고등학교 영재 학생들의 위키(Wiki) 기반 협력 문제해결 활동을 중심으로
- 맞다 틀리다의 단순한 심판을 넘어: 예비교사들은 수업관찰을 통하여 무엇을 어떻게 배울 수 있었는가?
- 수학을 가르치는 데 발현되는 교사 지식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 고등학교 수학교과서의 설명텍스트와 교사 설명담화에 대한 체계기능언어학적 비교 분석 -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 를 중심으로 -
- 공간 과제에서 인지 전략의 유형과 역할 : 시각적 변별과 기억 능력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The Impact of CEFR Basic User Level Text Complexity on Elementary School Learners’ English Comprehension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영어교육에서 심미적 감성 역량의 의미
- 영어수업을 위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역량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