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을 가르치는 데 발현되는 교사 지식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이용수 11
- 영문명
- A Study on 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정유경(Jung, YooKyung) 방정숙(Pang Jeongsuk)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25권 4호, 617~63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사 지식의 본질에 대한 견해에 따라 교사 지식을 분석하는 목적과 방법이 결정되므로 교사 지식에 대한 관점을 면밀하게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우리나라에 체계적으로 소개되지 않은 ‘수학을 가르치는 데 발현되는 지식(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MKiT])’의 개념, 특성, 분석 방식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MKiT의 관점에 따르면, 교사 지식이란 수학을 가르치는 데 사용되어야 의미가 부여되는 실천적 지식이다. 또한 수학을 가르치는 상황에서 여러 가지 교사 지식의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면서 교사 지식이 구성된다는 측면에서 교사 지식의 본질을 수업 맥락에 특화된 유기체로 여긴다. 이런 측면에서 교사 지식에 대한 분석은 주로 수업과 직접적으로 연계된 교사의 행위나 수업 상황을 관찰·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MKiT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교사 지식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하며, 더 나아가 수학 교사 지식의 본질 및 분석 방식에 대한 면밀한 이해를 촉구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A perspective of the nature of teacher knowledg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why and how we study teacher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athematics knowledge in teaching [MKiT] in terms of meanings, characteristics, and analytic methods.
MKiT regards teacher knowledge as practical knowledge that has meanings only when it is employed in teaching mathematics. Various components of teacher knowledge interact one another in teaching mathematics. Given this, teacher knowledge is counted as an organism specific to teaching contexts and it needs to be analyzed by observing lessons or a teacher’s actions directly related to the lessons.
This paper expects to induce research on teacher knowledge from the MKiT perspective, urges researchers to have a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analytic methods of teacher knowledge, and closes with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중등 영재학생들의 합동변환 활동에 대한 발생적 분해
- 유치원과 초등 1학년의 연계성을 강조한 수학과 교육과정의 구성 방안 연구
- 중등 예비 수학 교사의 교육철학에 대한 귀납적 분석
- 초등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수학적 과제 설계 : 기하 판 위의 정삼각형이 가능한가?
- 수÷0에 대한 초등교사의 PCK 분석
-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곡선 탐구를 통한 수학영재들의 불변량 활용에 관한 사례 연구
- 예비교사들의 지식(MKT) 측정 및 분석 연구
- 학교수학적 지식의 성장: 고등학교 영재 학생들의 위키(Wiki) 기반 협력 문제해결 활동을 중심으로
- 맞다 틀리다의 단순한 심판을 넘어: 예비교사들은 수업관찰을 통하여 무엇을 어떻게 배울 수 있었는가?
- 수학을 가르치는 데 발현되는 교사 지식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 고등학교 수학교과서의 설명텍스트와 교사 설명담화에 대한 체계기능언어학적 비교 분석 -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 를 중심으로 -
- 공간 과제에서 인지 전략의 유형과 역할 : 시각적 변별과 기억 능력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