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0에 대한 초등교사의 PCK 분석
이용수 16
- 영문명
-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CK about N÷0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임미인(Miin Lim) 장혜원(Hyewon Chang)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25권 4호, 657~67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수÷0은 수학사에서도 드러나듯이 인식론적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교수‧학습 상황에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는 연산이다. 우리나라의 현행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수÷0을 다루고 있지 않지만, 초등학교 수학에서 0을 포함한 범자연수를 다루면서 수÷수를 지도하고 있기 때문에 수÷0에 대한 질문이 학생들에 의해 종종 제기되곤 한다. 이에 대한 교사의 명확한 이해와 학생 수준을 고려한 적절한 지도는 학생들의 계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개념 및 오류를 방지하여 후속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0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PCK 관련 중 내용지식 수준과 그들이 생각하는 수÷0의 적절한 지도 방법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 30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일부 초등교사는 수÷0과 그에 대한 적절한 지도 방법을 알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에 따른 논의로부터 몇 가지 교수학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are interested in the teachers’ MCK about ‘N÷0’ and MPCK in relation to the proper ways to teach it. Even though ‘N÷0’ is not on the current curriculum and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a few students sometimes ask a question about it because the division of the form ‘a÷b’ is dealt in whole number including 0. Teacher's obvious understanding and appropriate guidance based on students’ levels can avoid students’ error and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subsequent learning. Therefore, we developed an interview form to investigate teachers’ MCK about ‘N÷0’ and MPCK of the proper ways to teach it and carried out individual interviews with 30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se interviews reveal that some teachers do not have proper MCK about ‘N÷0’ and many of them have no idea on how to teach their students who are asking about ‘N÷0’. Based on our discussion of the results, we suggest some didactical implication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중등 영재학생들의 합동변환 활동에 대한 발생적 분해
- 유치원과 초등 1학년의 연계성을 강조한 수학과 교육과정의 구성 방안 연구
- 중등 예비 수학 교사의 교육철학에 대한 귀납적 분석
- 초등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수학적 과제 설계 : 기하 판 위의 정삼각형이 가능한가?
- 수÷0에 대한 초등교사의 PCK 분석
-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곡선 탐구를 통한 수학영재들의 불변량 활용에 관한 사례 연구
- 예비교사들의 지식(MKT) 측정 및 분석 연구
- 학교수학적 지식의 성장: 고등학교 영재 학생들의 위키(Wiki) 기반 협력 문제해결 활동을 중심으로
- 맞다 틀리다의 단순한 심판을 넘어: 예비교사들은 수업관찰을 통하여 무엇을 어떻게 배울 수 있었는가?
- 수학을 가르치는 데 발현되는 교사 지식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 고등학교 수학교과서의 설명텍스트와 교사 설명담화에 대한 체계기능언어학적 비교 분석 -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 를 중심으로 -
- 공간 과제에서 인지 전략의 유형과 역할 : 시각적 변별과 기억 능력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