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교 수학교과서의 설명텍스트와 교사 설명담화에 대한 체계기능언어학적 비교 분석 -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 를 중심으로 -
이용수 35
- 영문명
- A Study on the Written Texts of a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 and Teacher’s Classroom Discourse -A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dratic Functions and Quadratic Equation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전수경(Jeon, Soo Kyung) 조정수(Cho, Cheong-Soo)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25권 4호, 525~54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가 수업에서 사용하는 수학언어의 특징을 밝히고 수학교사의 구체적인 언어 사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1학년의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를 설명하는 교과서 텍스트와 교사의 수업담화를 비교하였다. 분석 자료는 고등학교 수학1의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에 대한 수업의 녹취록과 수업에 사용된 교과서 텍스트이며, 이 자료를 Halliday(1994)의 체계기능언어학에 따라 담화의미 층위와 어휘문법 층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과서는 의미의 상하관계를 이용한 일반화, 명사화를 통한 수학적 대상화, 주제부의 변화를 이용한 의미의 구체화와 같은 어휘문법 전략을 사용하여 구체적인 예시로부터 일반화를 통해 수학적 개념을 구성하는 설명방식을 사용하였고, 이 과정에서 담화의미 층위와 어휘문법 층위의 조직적인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반면에 교사의 설명은 동사성의 변화와 이유 및 절차 담화의 추가를 통해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를 구성해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교사 설명담화의 언어적 특징으로는 맥락적 생략으로 인한 화용적 함축과 어휘소의 누락이 나타났으며, 담화의미 층위에 영향을 주는 구조적인 어휘문법 자원의 사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학수업 담화를 분석하는 새로운 틀을 제공할 것이며, 수학교사들에게 수학적 개념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어휘문법적 전략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written texts of textbook and the teacher’s discourse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quadratic functions and quadratic equations’ in the 9th grade high school mathematics class. Data consisted of the lecture recordings and the textbooks were analyzed based on the Halliday’s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written texts of the textbook used lexico-grammatical strategies such as generalization using hyponomy of meanings, mathematical objectification through nominalization and materialization of meaning through change in themes to compose mathematical concepts. The textbook generalized from an example in the description of formulat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in this process the organizational interactions of discourse-semantic level and lexico-grammartical level appeared.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doscourse appeared the change in transitivity and the addition of the reasons and the process. Also the teacher used explanation process of formul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quadratic functions and quadratic equations.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were linguistic implication and omission of lexemes due to contextual ommission. And there was no use of structural lexico-grammatical resources that influence the discourse- semantic level. This results provide a new framework for analyzing mathematical discourse, and suggest the lexico-grammatical strategies that can be used to explain mathematical concepts by teachers in math classroom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중등 영재학생들의 합동변환 활동에 대한 발생적 분해
- 유치원과 초등 1학년의 연계성을 강조한 수학과 교육과정의 구성 방안 연구
- 중등 예비 수학 교사의 교육철학에 대한 귀납적 분석
- 초등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수학적 과제 설계 : 기하 판 위의 정삼각형이 가능한가?
- 수÷0에 대한 초등교사의 PCK 분석
-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곡선 탐구를 통한 수학영재들의 불변량 활용에 관한 사례 연구
- 예비교사들의 지식(MKT) 측정 및 분석 연구
- 학교수학적 지식의 성장: 고등학교 영재 학생들의 위키(Wiki) 기반 협력 문제해결 활동을 중심으로
- 맞다 틀리다의 단순한 심판을 넘어: 예비교사들은 수업관찰을 통하여 무엇을 어떻게 배울 수 있었는가?
- 수학을 가르치는 데 발현되는 교사 지식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 고등학교 수학교과서의 설명텍스트와 교사 설명담화에 대한 체계기능언어학적 비교 분석 -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 를 중심으로 -
- 공간 과제에서 인지 전략의 유형과 역할 : 시각적 변별과 기억 능력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