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광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특성과 여행소비행동 간의 관련성 연구
이용수 24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 of the Tourist's Consumption Behavioral Patterns with their Usage of Social Network Service(SNS)
- 발행기관
- 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김현주 정유준 이창남
- 간행물 정보
- 『관광경영연구』제15권 제4호, 63~8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play the necessity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for delving into the relations of the consumption Pattern with Tourist’s usage of SNS based on EBM model. Given the fact the SNS has greatly contributed to generating information on tour consumption and distributing it widely, we showed the need for elucidating the relations of SNS usage in the tourist’s consumption behavioral pattern. In order to illustrate them, we reviewed the different patterns for the SNS usages of each tourist and analyzed the connectivity of tourist consumption behavioral pattern with the usag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fter reviewing group tourist consumption behavioral patterns through features of usage on social network service, we found that the conventional tourist information search methods were not different among groups but the data search through SNS were most densely utilized. No gap was, however, found among PC and Smart phone user groups. Second, analyzing the factors in decision-making in accordance with the usage of SNS, we found no difference in each factor. It indicated that blog and cafes were not regarded as SNS but as a part of internet search. Third, the reviewing outcome on factors in decision on purchase behavior among tourist consumption behavioral patterns showed that there lied a gap in purchase decision through SNS and conventional Service. Conspicuous is the finding that the groups with frequent use of SNS were increasingly resorted to SNS for purchase. It revealed that groups with heavy use of SNS were not necessarily using SNS for direct purchase, indicating that they were more likely to use the SNS in the near future when SNS becomes the norm of the da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행사직무특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패스트푸드점의 물리적환경이 만족과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 호텔고객이 지각한 서비스인카운터 품질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관광 스토리텔링이 관광목적지 매력지각에 미치는 영향
- 관광지 수명주기 연구
- 호텔 종사원의 고객지향성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개별여행자의 여행사 선택속성 연구
- 호텔기업의 노사파트너십과 보상제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이중양분선택형 CVM을 적용한 문화유산자원의 보전가치(non-use value) 평가
- The effect of brand image on brand value and brand loyalty: focused on deluxe hotels in Miami
- 여행사 종사원의 감정노동과 서비스 태도의 영향관계
- 호텔기업의 고객화가 고객충성도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여행사의 서비스지향성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관광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특성과 여행소비행동 간의 관련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