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예치료에 기반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노인의 우울, 불안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443

영문명
The effects of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horticultural therapy on depression and anxiety of the older adults.
발행기관
한국REBT인지행동치료학회
저자명
조정은 박경애
간행물 정보
『한국REBT인지행동치료』제3권 제1호, 28~50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원예치료에 기반한 REBT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과 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연구대상자는 D시 소재의 노인시설기관 입소 노인중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히고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K-MMSE 2) 평가에서 18점 이상(경증치매 노인~정상군)을 획득한 10명의 노인을 집단프로그램 참여자로 원예치료에 기반한 REBT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주 1회, 회당 60분 총 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고,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판 단축형 노인우울척도(GDSSF-K)와 한국판 노인불안척도(K-GAI)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시작 전·후 검사를 실시하여,SPSS 28.0을 이용하여 Shapiro-Wilk test로 정규 우울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그러나 불안 수준은 감소하였으나,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이상의 결과를 통해 원예치료에 기반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노년기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우울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나 불안 감소에는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또한 단일집단 사례연구를 실시로 인한 연구결과에 대한 신뢰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제한점을 갖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elder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elderly people who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and obtained 18 points or more (mild dementia elderly ~ normal group) in the Korean version of the Simple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2) among the elderly living in a facility for the elderly in D city. As a group program participant for the elderly,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horticultural therapy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a total of 8 sessions of 60 minutes per sessio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SF-K)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Anxiety Scale (K-GAI) were used to conduct a tes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SPSS 28.0 was used to determine normal distribution with the Shapiro-Wilk tes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paired sample t-test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participating group. However, anxiety levels declined, bu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the above results, it seems that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horticultural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that reduces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but it does not appear to reduce anxiety. In addition, it has a limitation that there may be a problem with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a single group case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정은,박경애. (2023).원예치료에 기반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노인의 우울, 불안에 미치는 효과 . 한국REBT인지행동치료, 3 (1), 28-50

MLA

조정은,박경애. "원예치료에 기반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노인의 우울, 불안에 미치는 효과 ." 한국REBT인지행동치료, 3.1(2023): 28-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