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범죄예방지도사(가칭) 자격제도의 도입방안
이용수 28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Qualification System for fostering Crime Prevention Experts66
- 발행기관
- 한국법무보호복지학회
- 저자명
- 강철하(Kang, Chul-Ha) 최규호(Choi, Kyu-Ho)
- 간행물 정보
- 『법무보호연구』제2권, 3~3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범죄에 대한 사전 예방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범죄예방활동이전개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범죄예방분야를 담당하는 공무원이 부족하여 민간자원의 활용 필요성이 높은 상황이다. 또한 변화된 범죄환경에 대처하고 여전히높은 수준의 재범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범죄예방 대책의 시행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범죄예방 대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실제 현장에서예방활동을 수행하는 인력의 전문성 제고가 요청된다는 점에서 전문자격제도 도입이필요하다. 기존의 범죄예방과 관련된 유사 자격제도의 경우에는 일반인, 우범자, 범죄자를 아우르는 범죄예방전문가 양성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주로 ‘심리 상담’ 분야에 치우친 교육 시행으로 범죄예방에 필요한 균형 있는 학습이 부족하다는 문제점 등이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① “안전하고 건강한 사회 실현”을 목표로, ② 범죄예방분야에서 현재 활동하고 법무부(보호관찰소)․검찰․경찰․법무보호복지공단 등의 관련 종사자, 법사랑위원 등의 민간자원봉사자, 기타 범죄예방전문가로 활동하고자 하는 자 등을 대상으로 ③ 법학, 심리학, 사회복지학, 범죄학 등의 범죄예방 관련 이론의 균형있는 학습에 기초하여 ‘지식의 이해력’, ‘분석력’, ‘판단력’, ‘종합적 실무능력’을 평가함으로써 ④ 그 성취도에 따라 전문가 자격을 부여(1급, 2급)하는 새로운 자격제도모델로서 이른바 ‘범죄예방지도사’ 자격제도의 개발 및 시행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As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measures against crime is emphasized, crime prevention activities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fields. However, in reality, there is a shortage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crime prevention, so that there is a high need for utilization of civilian resourc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mplement crime prevention measures in order to cope with a changed crime environment and prevent recidivism.
In order to implement effective and systematic crime prevention measures,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expertise of the manpower performing the preventive activities in the actual field.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 system might be a breakthrough. But those similar qualifying systems related to crime prevention are not enough to raise the expertise of the manpower, in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training wide-scoped specialists for the citizen, the offender, and the recidivist, and that those systems are biased in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lacking a balanced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so-called ‘crime prevention instructor’ qualification system as a new qualification model. Aiming at “realizing a safe and healthy society”, this system, by testing knowledges and analytical, practical, and judgmental abilities in regard of the study of law,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criminology, is designed to qualify those who are now in charge of the crime prevention task and wish to work as a staff of Ministry of Justice(especially the Probation office), the Prosecution service, the Police agency, and Korea Rehabilitation Agency or as a civilian volunteer, etc.
목차
Ⅰ. 서 론
Ⅱ. 범죄예방 전문자격제도의 도입
필요성
Ⅲ. 유사 전문자격제도 비교분석
Ⅳ. 이른바 ‘범죄예방지도사’ 자격 제도의 도입방안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