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월봉과 당산봉의 식물상
이용수 29
- 영문명
- Flora of the Two Cones, Suwolbong andDangsanbong in Western Jeju Island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문성필 이성권 김지현 임은정 박지현 서민희 송관필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59권, 375~40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주도 한경면에 위치한 수월봉과 당산봉을 대상으로 식물상을 조사하여 지역 간 차이를 보기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식물상은 수월봉 58과 139속 178종 1변종 179분류군, 당산봉 79과 209속 274종 1아종 4변종 279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82과 219속 294종 1아종 4변종 299분류군이 나타났다. 멸종 위기 야생식물, 특산식물은 나타나지 않았고, 산림청 희귀식물은 위급종(CR) 1종, 위기종(EN) 1종, 취약종(VU) 1종으로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Ⅴ등급은 나타나지 않았고, Ⅳ등급 10분류군, Ⅲ등급 29분류군, Ⅱ등급 6분류군, Ⅰ등급 30분류군이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50분류군, 식재종 20분류군, 생태계교란종 3분류군이 나타났다. 출현한 식물의 생활형은 휴면형이 일년생초본(Th) 86분류군, 지하기관형은 단립형(R5형) 181분류군, 기관산포형은 중력산포형(D4) 147분류군, 생육형은 직립형(e형) 96분류군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살펴볼 때 경작지나 훼손지에 비하여 자생식물의 분포가 많은 만큼 오름은 지역간의 식물분포를 분석하는데 적절한 장소라 판단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lora of the two cinder cones, Suwolbong and Dangsanbong located in Hangyeong-myeon of the western coast of Jeju Island.
As a result, we have listed 58 families, 139 genera, 178 species, 1 variant, and 179 at Suwolbong, and 79 families, 209 genera, 274 species, 1 subspecies, 4 varieties, and 279 at Dangsanbong, with a total of 82 families, 219 genera, 294 species, 1 subspecies, 4 varieties, and 299 classification groups.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endangered wild plants and special plants did not appear, and rare plants of the Korea Forest Service were found to be one emergency species (CR), one endangered species (EN), and one vulnerable species (BU).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ior plants did not appear in grade V, and IV grade 10 taxa, III grade 29 taxa, II grade 6 taxa, I grade 30 taxa appeared. There were 50 taxa of naturalized plants, 20 taxa of planted species, and three members of invasive species. As for the life types of the plants that appeared, dormant types were the most common with 86 taxa of annual herbs (Th), 181 taxa of single-grain (R5 type) for underground organs, 147 taxa of gravity dispersion (D4) for organ dispersion, and 96 taxa of upright (e) type for growth types.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judged that Oreum is an appropriate place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plants among regions because the distribution of native plants is larger than that of cultivated land or damaged lan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도연구 제59권 목차
- 16세기 제주도의 위기와 流民 증가 그리고 출륙금지령
- 제주 성평등 마을만들기 실천 전략으로서 마을규약 개정 사례 분석
- ‘장소특정적 예술’로써 제주 아르떼뮤지엄의 전시콘텐츠 발전방안 연구
- Now제주TV의 웹·TV드라마 연구
- 선흘리 식송계 연구
- ‘제주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제주 해안 노출 시기에 따른 해조류 유래 미생물 군집 구조 및 다양성 비교 분석
- 서귀포시 ‘노지(露地)문화’에 기반한 지역문화의 이해와 활용방안
- 2022년 제주 지방선거 결과 및 승패 요인 분석
- 수월봉과 당산봉의 식물상
- 제주지역 노인의 객관적 및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제주형 신남방정책의 발전 방향 모색
- 역사인물자원으로서 김만일의 생애와 헌마 업적 연구
- 을묘왜변 제주 대첩의 재조명과 역사적 의의
- 한천 유역 마애석각에 투영된 선경의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