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천읍성의 축조와 조성기법

이용수 67

영문명
The Construction and Building Techniques of Seocheoneupseong Fortress
발행기관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저자명
조원창
간행물 정보
『충청학과 충청문화』제33권, 83~11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서천읍성의 축조는 서천지역이 서해안의 관문이라는 지정학적 측면에서 제기되었다. 이는 특히 영중추원사 최윤덕(崔閏德)과 좌찬성 신개(申槪) 등에 의해 주장되었다. 그 결과 서천읍성은 둘레 2천2백65척,높이 9~12척, 여장 높이 3척, 적대 14개소, 문 2개소, 여장 5백개, 우물5개 등을 갖춘 치소성으로 조성되었다. 문헌기록으로 보아 서촌읍성의시축은 세종 20년(1438) 혹은 그 이전으로 파악되고, 이의 필축은 문종1년(1451) 이전으로 파악된다. 최근 서천읍성에 대한 발굴이 동문지 및 성벽, 해자 등을 중심으로진행되고 있다. 동문지는 개거식으로 파악되어 이미 문루가 완공된 상태이다. 특히 문구부 전면으로 전구부가 축조되어 조선 전기의 보령읍성 남문, 남포읍성 남문, 당진 면천읍성 남문 등과 같은 구조를 보이고있다. 성벽의 내벽은 계단식으로 조성되었으며, 이와 접해 내탁이 이루어졌다. 특히 경사내탁의 하단부는 성토된 토양을 역전시켜 토양이 경사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아주고 있다. 발굴조사를 통해 드러난 서천읍성의 성과는 바로 해자의 존재이다. 이는 문종실록에 해자가 없다는 기록으로 보아 후축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해자 내부에서는 목익흔이 발견되어 부산 동래읍성이나 보령 남포읍성과 같은 구조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발굴조사 과정에서 치성, 수혈유구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후자는 성벽과 해자 사이에서 내외 2열로 조사되었다. 이의 성격은 현재정확히 알 수 없지만 함정이나 목책과 관련된 유구로 추정되고 있다. 향후 서천읍성에 대한 발굴조사는 계속적으로 진행될 것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축조기법과 새로운 유구가 확인될 것이다. 이에 대해선 앞으로 보완해 나가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construction of Seocheon-eupseong Fortress was proposed in terms of geopolitics that the area was the entrance to the west coast. This was especially insisted by Choi Yoon-deok and Shin-Gae. As a result, Seocheon Eupseong Fortress was constructed with a circumference of 2,265 cheok, a height of 9~12 cheok, a height of yoejang (defense facilities on the wall)of 3 cheok, chiseong (the convex-form of walls for defense) 14, door 2,defense facilities on the wall 500, and well 5, etc. It is believed that the construction of Seocheon-eupseong Fortress began in the 20th year of KingSejong’s reign or earlier and completed before 1st year of King Munjong. Recently, excavations of Seocheon-eupseong Fortress have been conducted mainly in the east gate sites, fortress walls, and moats, etc. The corner-stone of the gate building in the east gate sites is on the ground of the earth and has already been completed. In particular, there is an open space in front of the gate, show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south gate ofBoryeongeupseong Fortress, the south gate of Nampoeupseong Fortress, and the south gate of Dangjin Myeoncheoneupseong Fortress in the early JoseonDynasty. The inside of the rampart was terraced, and the soil was piled up in layers. In particular, on the slope, the soil was piled up in reverse top revent the accumulated soil from flowing down. The achievement of Seocheon Eupseong revealed through excavation is the existence of moat. This can be seen from the record that there is no moat in the Annals of King Munjong, indicating that it was built later. Mok-ik (Wooden stick) was found inside the moat, showing that it was the same structure as Dongnaeeupseong Fortress in Busan or Nampoeup-seong Fortress in Boryeong. In addition, fortress with the convex-form of walls for defense and Pit features were excavated. In particular, the latter were surveyed in two rows, inside and outside, between the walls and moats. Its characteristic is currently unknown, but it is presumed to be a defense facility made of trap pit or trees. In the future, the excavation of Seocheon-eupseong will be continued, and various construction techniques and new remains will be found accordingly. This will also be needed further study.

목차

Ⅰ. 머리말
Ⅱ. 서천읍성의 발굴자료 검토
Ⅲ. 서천읍성의 조성기법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원창. (2022).서천읍성의 축조와 조성기법. 충청학과 충청문화, (), 83-115

MLA

조원창. "서천읍성의 축조와 조성기법." 충청학과 충청문화, (2022): 83-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