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상도 남해안지역 읍성의 축조수법

이용수 178

영문명
Construction Method of Eupseongs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of Gyeongsangdo Province: Focusing on the method of inner wall
발행기관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저자명
나동욱
간행물 정보
『충청학과 충청문화』제33권, 29~81쪽, 전체 5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 경상도 남해안지역에서 시・발굴조사 된 읍성의 체성 내벽을 중심으로 한 변화 과정과 부속 시설물로서 등성계단의 축조수법을살펴보았다. 이 지역에서 조사된 대부분의 읍성은 조선 태종조에서 연산군조에 걸쳐 축조된 것이다. 세종조를 전후한 시기의 읍성은 세종 20년(1438)에반포된 「축성신도」와 세종 25년(1443) 이보흠의 「축성신도」를 보완한내용과 근사한 것으로 조선시대 읍성과 수군진성의 축조에 기본이 된것으로 이해된다. 이보흠의 「축성신도」의 보완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읍성의 석축화과정에서 도성의 축조기법에 의하여 축조할 것을 건의한 바 있다. 비록세부적인 축성수법에 있어서는 다소간의 차이가 인정되지만 「축성신도」반포 이전인 태종 17년(1417) 축성된 하동읍성이나 울산 경상좌도병영성의 남벽 조사에서 체성의 면석 내부를 층단식 석축으로 뒤채움 한 것이 조사되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남해안지역 읍성의 발굴조사 결과를 통해 보면 조선초부터 도성의 체성 축조기법과 같이 지방 읍성의 체성 내벽도 「축성신도」의 내용처럼 층단식 석축으로 축조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세종년간에 축조한 창원 합포성지・거제 사등성지・창원 웅천읍성 등의 발굴조사 결과 축성신도의 규식에 충실한 층단식 석축 뒤채움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사천읍성에서는 축성신도의 보완책에 부합하는 층단식 석축뒤채움 안쪽으로 토사를 경사지게 덮은 성벽도 조사되었다. 그리고 웅천읍성(단종 1년(1453) 증축) 동남벽, 거제 고현읍성(문종 원년(1451))북벽, 울산 언양읍성(연산군 6년(1500)) 북벽 등의 발굴조사를 통하여내벽 안쪽을 토사로 경사 내탁하는 기법은 동일하나 체성의 내벽 뒤채움 구조가 기존 층단식 석축에서 수직상의 석축으로 바뀌었음을 알 수있었다. 이러한 경상도 남해안지역 읍성의 체성 내벽 축조기법은 동래읍성(영조 7년(1731))이나 통영성지(숙종 4년(1678)) 등을 통하여 체성외벽의 지대석이 시공되지 않고 체성 면석 안쪽에 일정한 너비로 잡석을 채우고 토사로 적심을 채우는 기법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있었다. 따라서 조선후기에는 체성 축조기법에 큰 변화가 있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하동읍성과 거제 사등성지에서는 부산 천성진성등의 내벽에서 성상부로 연결되는 등성계단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deals with construction method of affiliated staircases oftrial-excavated and excavated eupseongs(邑城s, town walls) in southcoastal region of Gyeongsangdo province in Josun dynasty, concentratingon transition process of the inner wall. Most of the eupseongs(邑城s) investigated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of Korea were constructed during Taejong dynasty and Yeonsan-gundynasty in Josun(朝鮮). Fortresses built around Sejong dynasty show theconstruction methods similar to those written in 「Chukseongsindo (築城新圖)」, published in 1438(20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and what LeeBoheum(李甫欽) supplemented in 1443(25th year of King Sejong’s reign),which means these methods became fundamental instruction in buildingeupseongs and jinseongs(鎭城s) in Josun dynasty. As presented in Lee Boheum’s supplement, he proposed applying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pital walls to stonification of the eupseong walls. Even though some differences could be found in detailed constructionmethod, terraced afterfilling of the surface stone of the wall was found inHadong-eupseong and southern wall of the Barrack of GyeonsangjwadoProvince in Ulsan. Therefore, as shown in excavation results of eupseongs in the southerncoastal region of Gyeongsangdo province, inner walls of the provincialeupseongs are built in terraced stonework system based on 「Chukseong-sindo」 like the capital walls in Early Josun dynasty. Especially, terracedmasonry afterfilling, which fairly reflects the rules and forms of 「Chuk-seongsindo」, is found in excavation of Hap-poseong Site, Ungcheon-eupseong in Changwon, Sadeungseong Site in Geoje, which are bulit in King Sejong’s reign. Moreover, walls to which supplementary measuressuggested in 「Chukseongsindo」 are applied like Sacheon-eupseong havebeen investigated. Finally, it came out that structure of the inner walls arechanged from terraced masonry afterfilling to method in which one side isupright masonry and another is slantly filled soil and stone as shown insome eupseongs like southeast wall of Ungcheon-eupseong, which wasextended in 1453(1st year of King Danjong’s reign), Gohyeon-eupseongbuilt in 1451(1st year of King Munjong’s reign) and Eonyang-eupseong inUlsan built in 1500(6th year of Yeonsan-gun). Meanwhile, staircases arefound in Hadong-eupseong and Sadeungseong. In addition, wooden pillarsinstalled in moats was found in Ungcheon-eupseong and Gohyeonseong. The Masonry method of inner walls of the southern coastal fortresses ofGyeongsangdo province shows large alteration in the late Josun Dynasty:it changes to a method of filling soil and stones to some extent behind the surface stone wall instead of setting up foundation stones on the outer wall, which can be found in Dongnae-eupseong constructed in 1731(7thyear of King Yeongjo’s reign) and Tongyeongseong site constructed in1678(4th year of King Sukjong). Meanwhile, staircase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wall are found in Hadong-eupseong and Geoje Sadeung-seong site.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시대 읍성의 개관
Ⅲ. 경상도 남해안지역의 시・발굴조사 된 읍성
Ⅳ. 조선시대 경상도 남해안지역 읍성 내벽의 변화과정 검토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나동욱. (2022).경상도 남해안지역 읍성의 축조수법. 충청학과 충청문화, (), 29-81

MLA

나동욱. "경상도 남해안지역 읍성의 축조수법." 충청학과 충청문화, (2022): 29-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