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加耶轉換期 金海 狗耶·金官國의 推移

이용수 58

영문명
The Progress of the Guya-Gumguan Nation at a turning point of Gaya
발행기관
부산고고학회
저자명
김두철
간행물 정보
『고고광장』31권, 79~10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가야 전환기, 즉 전기가야에서 후기가야로 넘어가는 시점에서 중심지역인 김해의 변화상, 특히 고분을 통한 사회·인구변동의 격변 양상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여전히 학계에 인식이 부족한 전기가야 사회를 부각코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가야 전환기라는 용어의 의미를 확실히 정하고자 하였다. 고구려군 남정(400년)에서 황남대총 남분의 축조(458년)에 이르기까지 반세기 동안 3개의 획기와 ‘전기가야의 해체’와 ‘후기가야의 성립’이란 2개의 큰 분기로 이해코자 하였다. 이는 전기가야에서 신라로 영남지역의 주도권이 완전히 넘어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전기가야의 김해지역 묘제인 목곽묘와 석곽묘에 대한 재평가를 하였다. 목곽묘는 계통 문제와 주·부곽식 무덤에 대한 몇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특히 종래 분류나 기원 문제가 분분하였던 석곽묘에 대해서는 ‘廣幅木蓋’와 ‘細幅石蓋’의 2계통이 있으며 각각은 목곽묘와 전대의 석관묘에서 발전한 것으로 보았다. 가야의 수장 무덤은 전기가야에는 대성동의 목곽묘가 중심이었으나, 복천동유적에서 위 두 계통의 석곽묘가 결합하여 후기가야의 주류 묘제로 정착하였음을 명확히 하였다. 전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는 획기에 이루어지며 의도적 변화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김해 중심지역의 무덤 축조 양상을 살폈다. 전기가야에서 후기가야로 넘어가는 제2획기에 중심지인 ‘金海內灣’의 분묘 축조가 급격히 감소한다. 이는 인구 감소와 연동한 것이다. 이후 외곽지역으로 묘역들이 분산하는데, 종래보다 낙동강 지역이 더욱 활용되는 경향도 있다. 어쨌든 이는 김해지역 전기가야 중심세력의 와해와 직접 관련이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through ancient tombs excavated in Gimhae, the centre of Gaya, a cataclysmic aspect of society and population at a turning point from the Former Gaya to the Later Gaya was studied, and this also revealed the aspect of society of the Former Gaya to academia that had scant awareness. First, the meaning of a turning point of Gaya was defined. About half century from the attack southern part of the Great King Guanggaeto in 400 A.D to the construction of the South Tomb of HuangNam Great Tombs in 458 A.D was separated into three periods, and there were two bifurcations, the dissolution of the Former Gaya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Later Gaya. It is also a process that hegemony of Yeongnan area was passed from the Former Gaya on to Silla. For research, the wooden chamber tomb and the stone lined tomb which were the main tombs of Gimhae area were reexamined. The system problem and the main-additional chamber tomb problem were also indicated. Especially, the stone lined tomb were separated into two systems: a wide tomb with wooden covers and a narrow tomb with stone covers. They were developed from a wooden chamber tomb and a former stone coffin tomb each. About the elite tomb of Gaya, a wooden chamber tomb of Daesungdong was main in the Former Gaya, and the two different stone lined tombs were combined in Bokcheondong site, and it became the main elite tomb of the Later Gaya. This intended change happened at a turning point from the Former Gaya to the Later Gaya. Finally, the aspect of tomb construction of Gimhae area was also studied. At the second bifurcation from the Former Gaya to the Later Gaya, tombs of “the inner gulf of Gimhae” were rapidly decreasing. It is connected with a decline in population. The boundaries of a tomb spread to the suburbs, and the Nakdong river area was be fully used than before. It is connected with the collapse of the centre elite group of the Former Gaya.

목차

Ⅰ. 머리말
Ⅱ. 가야 전환기의 설정
Ⅲ. 김해지역 전기가야의 묘제
Ⅳ. 전환기 김해지역의 변화 양상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두철. (2022).加耶轉換期 金海 狗耶·金官國의 推移. 고고광장, (), 79-107

MLA

김두철. "加耶轉換期 金海 狗耶·金官國의 推移." 고고광장, (2022): 79-1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