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동기시대 동북아시아의 생업경제(上)

이용수 72

영문명
Livelihood Style of Bronze Age in Northeast Asia (vol. 1): Focusing on the Korean Peninsula, Liaoning Province, and Jilin Province
발행기관
부산고고학회
저자명
김동일
간행물 정보
『고고광장』31권, 33~78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청동기시대 동북아시아의 생업경제를 파악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청동기시대 요령지역과 길림지역의 생업자료를 목록화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요령지역에서 한반도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의 생업환경을 복원하였다. 실제로는 동물유체와 식물유체의 검토가 그 중심에 있다. 본고의 분석 결과, 요령지역과 길림지역에서는 가축 사육과 농경에 가장 집중하였고, 육상 수렵활동은 요령지역만이 조금 더 활발하였을 뿐이다. 벼뿐만 아니라 조와 기장까지 출토되었고, 이러한 상황은 철기시대까지 이어진다. 가축 사육은 주로 소와 돼지, 개를 대상으로 하였고, 양은 유목집단과의 교류를 통해 확보후 사육이 이루어졌으며, 사육 환경 차이로 인해 수량이 상대적으로 적다. 한편으로 영양과 식량 확보를 위해 야생의 과실과 곡식을 채집하였다고 추정한다. 어로활동과 패류채집의 경우, 요령지역에서는 바다인 발해만을 중심으로 생계활동이 이루어졌고, 길림지역에서는 내륙의 하천에서 생계활동이 이루어졌다. 한편으로, 저장시설이 존재하여 여분의 식량에 대한 보존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요령지역과 길림지역은 한반도와 인접한다. 한반도 북부의 자료는 접근의 한계가 존재하지만, 압록강 이북지역과 이남지역의 생업환경에서 큰 차이가 나기 어렵다고 판단한다. 또한, 이를 기준으로 한국에서 알려지지 않은 생업자료가 북한지역에서 출토될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한다. 생업경제는 한반도 내에서도 지역마다 차이가 존재하지만 지역을 한반도 북부로 한정한다면, 한반도 북부와 요령지역은 시간이 흐를수록 점차 유사한 생업화경으로 변화되었다고 판단한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연구를 통해 비파형동검문화나 고조선의 생업경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청동기시대 한반도와 중국 동북지역 주민들에 대해 기록되지 않은 생업경제까지 파악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당시 사회를 보다 선명하게 해석할 수 있는 증거를 제공해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ivelihood style of Northeast Asia. Thus, livelihood studies of Liaoning province, Jilin province, and the Korean Peninsula were listed, and based on this list, the livelihood style has been reconstructed. At the center of the study are plant remains and animal remains. According to the analysis, Liaoning province and Jilin province focused mainly on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industry, but not much on hunting. When it comes to agriculture, not only rice but also foxtail millet and proso millet were cultivated, which continues to Iron Age. Livestock industry was primarily about raising cattle, pigs, and dogs, and sheep were secured from interacting with nomads. Yet the number of sheep was relatively less than that of the other livestock animals. Meanwhile, it is estimated that wild fruits and grains were gathered to ensure nutrition and provisions. The fishing and shell gathering of Liaoning province were centralized in the Bohai Bay, while in Jilin province, those were centering around the river of the inland. Also, storage pits existed to keep the spare food. Despite the shortage of data from North Korea, Liaoning province and Jilin province are right beside the Korean peninsula, and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re cannot b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livelihood style between the north and south of the Amnok River. For this reason, it is estimate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excavating livelihood resources in North Korea, which are unknown yet to South Korea.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within the Korean peninsula, limiting only to the norther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northern part and Liaoning province gradually came to have similar livelihood style. In conclusion, through these studies,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and livelihood style of Ancient Joseon could be understood, as well as the unrecorded livelihood style of the inhabitant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ern China in Bronze Age. Furthermore, the society of that era can clearly be interpreted.

목차

Ⅰ. 머리말
Ⅱ. 한반도의 생업환경 소재
Ⅲ. 요령·길림지역의 생업자료 검토
Ⅳ. 청동기시대 생업환경 복원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일. (2022).청동기시대 동북아시아의 생업경제(上). 고고광장, (), 33-78

MLA

김동일. "청동기시대 동북아시아의 생업경제(上)." 고고광장, (2022): 33-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