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테마관광의 체험요소가 감정반응과 장소애착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4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Experiential Factors of The Theme Tourism on Emotional Responses and Place Attachment and Behavior Intention.
- 발행기관
- 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이재곤 이규상
- 간행물 정보
- 『관광경영연구』제22권 제6호, 371~40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 Study on the Effect of Experiential Factors of The Theme Tourism on Emotional Responses and Place Attachment and Behavior Inten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mote tourism in the area through the Emotional Responses and Place Attachment and Behavior Intention by Experiential Factors of The Theme Tourism. There are 3 hypotheses based on experiential, responses, attachment and Intention reviews. Then we tested the data from questionnaires using SPSS 22.0. the data were collected for a month from August 14 to October 10. First, according to analysed result, Three out of four as affective facts of The Experiential Factors influenced on Emotional Responses. second, Two out of three as affective facts of Emotional Responses influenced on Place Attachment. Lastly, Two out of three as affective facts of The Place Attachment influenced on Behavior Intention(Revisit intention). One out of three as affective facts of The Place Attachment influenced on Behavior Intention(Recommend intention).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n modern society, tourists want to be offered a more sophisticated, individualized, differentiated tour product and any emotional experience from the environment. Therefore, if tourists develop more interesting and interesting design and appearance elements and apply them to appropriate times and places, tourists will experience positive tourism activities. In modern society, tourists' attitudes are noticeably changing to experience personal and subjective things rather than value social group relationships or interests. While it is true that we understand this trend and carry out diverse and differentiated ideas, contents, and continuous plans for trending, we should develop programs, tourism products, or research that can create social ties and solidarity by continuously providing tourism experience activities. Tourism should continue to develop products or programs with fresh, interesting and interesting elements so that once-traveled tourists can come back. Eventually, they will have local demand and a positive image to attract potential tourists. Therefore, we should try to become an international theme city in the worl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축제 서비스품질과 행동의도에 대한 참가동기 조절효과 연구
- 여행경험이 재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
- 세계문화유산 관광지 장소애착과 방문만족 및 추천의도에 관한 연구
- 메가이벤트의 관광영향과 성과, 도시브랜드자산, 지지도 인식 간 관계
- 외식 전문가의 퍼스널 브랜드 매력성 연구
- 호텔 서비스접점 직원의 체면민감성이 직무만족과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호텔레스토랑 고객의 타고객지각이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호텔종사원의 가치제안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Investigation of capsule hotel choice attributes: using choice experiment method
-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공직수행동기가 심리적 주인의식과 조직몰입,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항공사의 기내 안전환경이 객실 승무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웨딩박람회 체험이 참가자의 즐거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교수지지와 교육성과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유학생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외식소비행동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외식산업 분야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종업원의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항공서비스 기업의 코칭리더십과 객실승무원의 직무자율성, 조직몰입, 직무성과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 축제 서비스스케이프가 축제이미지, 감정반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Q-방법론을 적용한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이미지 유형 분석
- 테마관광의 체험요소가 감정반응과 장소애착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의 환경인식, 도시 관광이미지 및 관광의도의 영향관계
- 한국호텔 기업의 비즈니스 전략 인적자원관리, 절차공정성, 조직유효성간의 관계 연구
- 헤도닉가격모형을 이용한 에어비엔비 숙박가격 결정요인 분석
- 외식 배달 앱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에 관한 연구
- IPA를 이용한 LCC 항공사의 선택속성 연구
- 여행예능 관광지의 지각이 커뮤니케이션 욕구와 여행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고객의 무례한 행동이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정서적 고갈과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 판별분석에 의한 외식기업 부실예측모형의 예측력 평가
- 축제 스토리텔링 매력지각과 재방문의도 연구
- 국내외 관광객 유치증대를 위한 야간관광 활성화 방안
- 베이커리 카페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환대산업 기업의 재무비율 지표가 국가고객만족도(NCSI)에 미치는 영향
- 호텔기업의 SNS(Social Network Service)품질속성이 호텔이미지, 선호도 및 구매결정에 미치는 효과분석
- 관광 ODA사업에 대한 공여기관과 수혜지역주민 평가 비교
- 중국인 의료관광객의 의료기관서비스품질 지각이 의료관광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FSC와 LCC의 선택속성 차이 연구
- 축제 서비스스케이프와 영향인식이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해외의료관광의 인지된 선호와 심리적 거리, 한류 호감도가 해외의료관광 의향에 미치는 연구
- 조직 양면성의 인식수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메뉴 선택속성, 행동의도 간의 관계연구
- 중식프랜차이즈 레스토랑의 물리적환경, 경험가치, 감정반응 및 행동의도의 구조적관계
- 라이프스타일 성향과 관광지에서의 SNS 정보과시행동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