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골목길 도보관광자 행태추적 및 공간이동 패턴
이용수 2
- 영문명
- Analyzing Behavior Tracking and Movement Patterns of Walking Tourists in Urban Village Streets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박미현 윤희정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38권 제5호, 37~5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uses innovative technology to track and analyze the spatial movement patterns of walking tourists’ behavior in urban village streets. The spatial movement of tourists is dynamic and successive. This present study uses a smart phone GPS application at the Buk Chon traditional villages, one of the most famous walking tourists attractions in Korea, in gathering the data. The spatial movement patterns of tourists’ walking behavior are classified as 3 types: straight pattern, circuit pattern and complex pattern. Tourism planners and policy makers of community-based tourism should focus on these limited patterns of spatial usage by these walking tourists to adopt policies with such measures in mind. Future research in this area is need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 and spatio-temporal patterns of walking tourists, as well as the influence of season, weather and demographic factors.
목차
I. 서론
II. 관광자 행태추적 방법론
III. 연구범위 및 방법
IV. 연구결과 및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광학연구 제38권 제5호 목차
- 슬로시티 방문객의 웰니스 라이프스타일별 슬로시티 속성의 중요도, 혼잡지각 및 극복행동에 대한 태도의 차이
- 포스트관광객의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선(gaze)이 아웃도어레크리에이션 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분석
- 여행경력에 따른 장애인의 의사결정에 있어 관광동기의 역할 차이 고찰
- 축제체험의 요인구조 분석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자원봉사자의 행동의도 분석
- 연구노트: 문화유산관광용 앱에 의한 관광태도 변화 분석
- 父母의 社會經濟的 地位에 따른 靑少年期 餘暇活動 差異
- 외국인 투자자본의 국내 서비스산업에 대한 영향
- 남이섬 관광지 공간 재구성
- 관광에서 진정성 논의의 현재와 평가
- 사회적 자본과 지역사회 통합과의 관계
- 시스템 사고를 통한 생태관광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방안 연구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골목길 도보관광자 행태추적 및 공간이동 패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