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S 및 LTE-Maritime 데이터를 활용한 항적 예측 오차 비교 연구
이용수 113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Vessel Trajectory Prediction Error based on AIS and LTE-Maritime Data
- 발행기관
- 한국항해항만학회
- 저자명
- 민지홍 이승주 조득재 백종화 박현우
- 간행물 정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제46권 제6호, 576~584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해양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존 해상 교통안전을 위한 기반 정보는 AIS 시스템을 사용하여 왔으나, IMO의 e-Navigation 도입이 제기된 이후 LTE 통신을 활용한 초고속 해상무선통신시스템(LTE-Maritime, LTE-M)이 세계 최초로 대한민국에 구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AIS와 LTE-Maritime을 사용하여 수집된 항적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고, 두 가지 종류의 항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상 안전사고 예방에 활용될 수 있는 항적 예측을 수행하였다. AIS 대비 LTE-Maritime의 데이터 수집 간격이 조밀하고 균일하여 항적 예측 오차가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 LTE-Maritime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경우 데이터 송·수신 시간 간격은 AIS 대비 항적 예측 오차에 대한 영향이 약 17% 적은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AIS와 LTE-Maritime의 항적 데이터와 그 활용을 정량적으로 비교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AIS is widely utilized in vessel traffic services for marine traffic safety. In 2021, Korea deployed the high-speed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TE-Maritime) on the sea following IMO’s proposal for the introduction of e-Navigation. In this paper, vessel trajectory data from AIS and LTE-Maritime were used for vessel trajectory prediction to compare and analyze the two systems. The results show that the trajectory prediction error of LTE-Maritime was smaller than that of AIS due to the granular and uniform data provided by LTE-Maritime. Additionally, it was revealed that time interval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errors in trajectory prediction, with the prediction error of LTE-Maritime growing at a slower rate of 17% than AI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quantitatively comparing AIS and LTE-Maritime systems for the first time.
목차
1. 서 론
2. 선행 연구 분석
3. 데이터 특징 분석
4. 항적 예측 알고리즘
5. 실험 및 고찰
6.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첨단 지상파항법시스템(eLoran) 시범서비스의 LDC 메시지 변조기법에 따른 수신성능 분석
- 선박 그룹항해시스템의 항법 알고리즘 개발
- X-밴드 레이더 파랑 계측과 기상 상태 연관성 고찰
- 반응형 웹 기반 선박 보조기기 및 배관 상태 진단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 서해안 해상풍력단지 풍황관측용 부유식 라이다 운영을 위한 선박형 부표식 설계 및 계류 시스템의 수치 해석적 안정성 평가
- 전시기 해상도에 따른 Asterix CAT 240 포맷 최적화 방안 연구
-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FLNG의 풍하중 추정에 관한 연구
- MPI를 활용한 국적 외항 컨테이너 선사의 생산성 변화 분석 연구
- 고 주파수 기반 선박중심 직접통신(MX-S2X) 물리계층 구현 및 성능분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46권 제6호 목차
- AHP를 활용한 우리나라 예선서비스 품질평가 모형 개발 연구
- 항만과 도시 간 상생을 위한 로컬 항만 거버넌스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심해공학수조 조파기 전달함수 근사 모델 개발
- 탈중앙화 MSR 환경에서의 웹 브라우저 기반 글로벌 이내비게이션 서비스 검색 시스템 구현에 대한 연구
- AIS 및 LTE-Maritime 데이터를 활용한 항적 예측 오차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해양공학분야 BEST
-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평택·당진항 수입 승용차 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
- 크루즈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관광경쟁력 제고방안 연구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따른 지자체 대응 전략
공학 > 해양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