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PI를 활용한 국적 외항 컨테이너 선사의 생산성 변화 분석 연구
이용수 69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ductivity Changes of the Korean Container shipping lines using MPI
- 발행기관
- 한국항해항만학회
- 저자명
- 신성섭 김치열 하민호
- 간행물 정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제46권 제6호, 547~55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해양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연구는 2019∼2021년 14개 국적 외항 컨테이너 선사의 생산성 변화를 MPI(Malmquist Productivity Index)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기간 14개 선사의 MPI는 연평균 38.4%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MPI 변화 원인을 살펴보면, TCI(Technical Change Index)는 연평균 58.3% 증가하였으나 TECI(Technical Efficiency Change Index)는 연평균 12.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박의 효율성 또는 선대 규모 확대 효과보다는 운임상승에 의한 생산성 향상이 주원인임을 의미한다. 원양 해운선사인 HMM과 SM상선은 타 선사(아시아 역내 선사)와 달리 TECI와 TCI가 모두 생산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시아 역내 선사의 경우 TCI(i.e. 운임상승) 값의 증가에 의한 생산성 향상이며, TECI값 중 SECI(Scale Effieicency Change Index) 값이 낮아 이들 선사는 선대 규모(규모의 경제) 변경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를 거의 누리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the operational productivity of fourteen Korean container lines from 2019 to 2021 using MPI(Malmquist Productivity Index).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perational productivity of the shipping companies has increased by 38.4% annually, representing the TCI (Technical Change Index) increasing by 58.3% and the TECI (Technical Efficiency Change Index) decreasing by 12.6%. The increase in the operational productivity of the container shipping lines was mainly attributed to the high rise in ocean freight rates rather than an increase in fleet size or ship technical efficiency. However, the deep-sea shipping lines (i.e. HMM and SM lines) experienced increases in both the TCI and TECI, which was not the case for other shipping lines(i.e. Intra-Asian short-sea shipping lines). The intra-Asian short-sea shipping lines enhance their productivity due to the TCI but failed to appreciate the cost savings of the increased fleet effects due to the low SECI(Scale Efficiency Change Index) values.
목차
1. 서 론
2. 선행연구
3. 분석방법
4. 실증분석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첨단 지상파항법시스템(eLoran) 시범서비스의 LDC 메시지 변조기법에 따른 수신성능 분석
- 선박 그룹항해시스템의 항법 알고리즘 개발
- X-밴드 레이더 파랑 계측과 기상 상태 연관성 고찰
- 반응형 웹 기반 선박 보조기기 및 배관 상태 진단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 서해안 해상풍력단지 풍황관측용 부유식 라이다 운영을 위한 선박형 부표식 설계 및 계류 시스템의 수치 해석적 안정성 평가
- 전시기 해상도에 따른 Asterix CAT 240 포맷 최적화 방안 연구
-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FLNG의 풍하중 추정에 관한 연구
- MPI를 활용한 국적 외항 컨테이너 선사의 생산성 변화 분석 연구
- 고 주파수 기반 선박중심 직접통신(MX-S2X) 물리계층 구현 및 성능분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46권 제6호 목차
- AHP를 활용한 우리나라 예선서비스 품질평가 모형 개발 연구
- 항만과 도시 간 상생을 위한 로컬 항만 거버넌스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심해공학수조 조파기 전달함수 근사 모델 개발
- 탈중앙화 MSR 환경에서의 웹 브라우저 기반 글로벌 이내비게이션 서비스 검색 시스템 구현에 대한 연구
- AIS 및 LTE-Maritime 데이터를 활용한 항적 예측 오차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해양공학분야 BEST
-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평택·당진항 수입 승용차 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
- 크루즈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관광경쟁력 제고방안 연구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따른 지자체 대응 전략
공학 > 해양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