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해안 해상풍력단지 풍황관측용 부유식 라이다 운영을 위한 선박형 부표식 설계 및 계류 시스템의 수치 해석적 안정성 평가
이용수 68
- 영문명
- Design of Ship-type Floating LiDAR Buoy System for Wind Resource Measurement in the Korean West Sea and Numerical Analysis of Stability Assessment of Mooring System
- 발행기관
- 한국항해항만학회
- 저자명
- 강용수 김종규 이백범 양수인 김종욱
- 간행물 정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제46권 제6호, 483~49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해양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부유식 라이다는 해상풍력단지 조성 시 필수적인 풍황관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지역사회의 반발까지 줄일 수 있어 업계의 표준으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부표의 동요에 의한 교란요인이 관측자료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안정적인 플랫폼의 설계 및 검증이 매우 중요하다. 국내에서는 이 분야의 기술 진출이 늦어짐에 따라 다수의 외국계 장비업체들이 국내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우리나라 서해안은 조수간만의 차가 매우 큰 천해성 환경이기 때문에 강한 해류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계절별로 다른 강한 에너지의 파도가 형성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이 복합적인 환경 특성을 지닌 우리나라 해역에서 라이다 운영에 적합한 부표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가장 먼저 적용된 선박형 부표식의 최적화 설계 및 검증 사례를 소개하고, 향후 다양한 플랫폼 개발의 기반이 될 중요한 개념을 도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Floating LiDAR is a system that provides a new paradigm for wind condition observation, which is essential when creating an offshore wind farm. As it can save time and money, minimize environmental impact, and even reduce backlash from local communities, it is emerging as the industry standard. However, the design and verification of a stable platform is very important, as disturbance factors caused by fluctuations of the buoy affect the reliability of observation data. In Korea, due to the nation’s late entry into the technology, a number of foreign equipment manufacturers are dominating the domestic market. The west coast of Korea is a shallow sea environment with a very large tidal difference, so strong currents repeatedly appear depending on the region, and waves of strong energy that differ by season are formed. This paper conducted a study examining buoys suitable for LiDAR operation in the waters of Korea, which have such complex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we will introduce examples of optimized design and verification of ship-type buoys, which were applied first, and derive important concepts that will serve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platforms in the future.
목차
1. 서 론
2. 부유식 라이다 부이의 동적해석 및 계류해석
3.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첨단 지상파항법시스템(eLoran) 시범서비스의 LDC 메시지 변조기법에 따른 수신성능 분석
- 선박 그룹항해시스템의 항법 알고리즘 개발
- X-밴드 레이더 파랑 계측과 기상 상태 연관성 고찰
- 반응형 웹 기반 선박 보조기기 및 배관 상태 진단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 서해안 해상풍력단지 풍황관측용 부유식 라이다 운영을 위한 선박형 부표식 설계 및 계류 시스템의 수치 해석적 안정성 평가
- 전시기 해상도에 따른 Asterix CAT 240 포맷 최적화 방안 연구
-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FLNG의 풍하중 추정에 관한 연구
- MPI를 활용한 국적 외항 컨테이너 선사의 생산성 변화 분석 연구
- 고 주파수 기반 선박중심 직접통신(MX-S2X) 물리계층 구현 및 성능분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46권 제6호 목차
- AHP를 활용한 우리나라 예선서비스 품질평가 모형 개발 연구
- 항만과 도시 간 상생을 위한 로컬 항만 거버넌스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심해공학수조 조파기 전달함수 근사 모델 개발
- 탈중앙화 MSR 환경에서의 웹 브라우저 기반 글로벌 이내비게이션 서비스 검색 시스템 구현에 대한 연구
- AIS 및 LTE-Maritime 데이터를 활용한 항적 예측 오차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해양공학분야 BEST
-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평택·당진항 수입 승용차 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
- 크루즈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관광경쟁력 제고방안 연구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따른 지자체 대응 전략
공학 > 해양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