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예술의 개념과 사회적 모델 예술로서의 고슬링 작품 분석
이용수 165
- 영문명
- Conceptualization of Disability Arts and Analysis of Gosling's work according to the Disabled lead social model arts
- 발행기관
- 한국장애학회
- 저자명
- 조문순 이동석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학회지』제7권 제2호, 109~12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장애예술의 개념 정의가 불분명한 현실에 따라 국내외 문헌분석을 통해 장애예술 개념을 구조화하고, 이를 통해 장애예술의 대표자라고 인식되고 있는 고슬링(Gosling) 의 작품을 사회적 모델 예술 차원에서 분석함으로써, 장애예술이 가져야 할 속성에 대해규명하였다. 장애예술을 창작의 주체와 주제에 따라 개념화한 후 가장 엄밀한 의미의 장애예술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장애인 주체적 사회적 모델 예술’ 유형에 따라 고슬링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이라는 사회적 권력이 손상을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주하면서 손상의 제거라는 억압 장치를 만들어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사회는 바퀴 기술이 장착된 휠체어에 열등하고 무능력하다는 상징을 부여하고 있고, 이에 따라 장애인을 그림자 인간으로 취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장애예술이 특정 양식으로 인정되고 사회적 지위를 가지기 위하여, 내용적 측면에서 사회적 모델을 따르고, 주체적 측면에서 장애인이 통제하는 예술이 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뤄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As the definition of disability arts in Korea is unclear, this study structured the concept of disability arts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domestic and oversees literature and analyzed the work of Gosling, who is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of disability arts. After structuring disability arts according to the subjectivity and subject of creation, Gosling's wor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led people lead - social model arts', which can be said to be the most rigorous concept of disability art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social power of science regarded impairment as abnormal and created a suppressive device called the removal of impairm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ociety gave a symbol of inferiority and incompetence to wheelchairs equipped with wheel technology compared to the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echnology and humans, and thus treated disabled people as shadow humans. Through this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value of disability arts as a form of disabled art can be stably recognized from the point of view of a social model. Therefore, in order for disability arts to be recognized as a specific style and to have a social status, it was suggested that support should be provided so that it could follow the social model in the content aspect and become art controlled by the disabled in the subjective aspect.
목차
1. 서론
2. 장애예술 개념 고찰 및 구조화
3. 고슬링의 작품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성인발달장애인의 대학기반 평생교육 운영 및 프로그램 적합도에 대한 부모인식 연구
- 시각장애 교원의 교직 경험 탐구: 도전, 극복, 그리고 성장
- 치과위생사의 장애인식개선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