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담자 발달수준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신화의 매개효과
이용수 46
- 영문명
-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on the Influence of Counselor’s Developmemtal Status on Psychological Burnout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이금순 박응임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27 No.4, 461~48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Counselors who experience psychological burnout have difficulties develop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therapeutic relationships as a result of diminished empathy, respect, and positive feelings toward the client.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developmental status, mentalization, psychological burnou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developmental status to alleviate psychological burnout.
Methods: An online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on 177 children and adolescent counselors. Data were analyzed based on mediating effects between variables using SPSS Process Macro model 4.
Results: First, the overall mentalizing competency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developmental status and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the reflection of the self and others and conviction about others’ mind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unselor’s developmental status and psychological burnout. However, failure of affect recognition and rigid think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developmental status and psychological burnout.
Conclusions: This study newly discovers the impact of mentalizing competency- a reflective function- in addition to counselor’s developmental status in reducing counselors’ psychological burnout. The mature mentalizing competency is cultivated by affect recognition and flexible thinking and it mitigates psychological burnou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수치심과 분노의 관계에서 정서자각 곤란의 조절효과
-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생각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을 통한 또래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
- 대학생의 코로나 19 스트레스, 우울 및 대인관계문제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이용만족도와 진로개발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 발달수준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신화의 매개효과
- 부모공동양육이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매개로 유아의 반항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유아를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북한이탈주민 지역적응센터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서비스 일 조직화: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적용
- 장년여성의 친부모 전담돌봄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전담돌봄의 맥락과 관계 변화 및 의미를 중심으로
- 시각장애 교원의 교직 경험 탐구: 도전, 극복, 그리고 성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