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수치심과 분노의 관계에서 정서자각 곤란의 조절효과
이용수 6
-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 of Difficulty in Identifying Feelings on the Relationship of University Students’ Shame and Anger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김태은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27 No.4, 381~39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university students’ shame and difficulty in identifying feelings on anger.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difficulty in identifying feelings on the relationship of university students’ shame and anger was explored.
Methods: A total of 296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hame, anger and difficulty in identifying feelings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the regressions via SPSS 22.0 and SPSS Process Macro.
Results: University students’ shame had an effect on the level of anger. In addition, difficulty in identifying feelings worsened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hame on anger.
Conclus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university students’ shame increases the level of anger. And difficulty in identifying feelings also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hame and ange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수치심과 분노의 관계에서 정서자각 곤란의 조절효과
-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생각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을 통한 또래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
- 대학생의 코로나 19 스트레스, 우울 및 대인관계문제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이용만족도와 진로개발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 발달수준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신화의 매개효과
- 부모공동양육이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매개로 유아의 반항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유아를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