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더니즘의 현실인식
이용수 2
- 영문명
- A perception of the reality in 1950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진영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0호, 358~370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후의 모더니즘은 특히 시론을 중심으로 30년대 모더니즘을 비판하고, 전통 서정시를 부정하면서 새로운 모더니즘 운동을 표방하게 된다. 당대 사회에 대한 시대 의식, 전통 서정시에 대한 대타성, 30년대 모더니즘의 극복이라는 현실적 성격을 띠고 있으면서 또한 방법이었다. 이러한 입장에서 그들은 구세대 문학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그 비판의 근거로 두 가지를 들 수 있는데 하나는 역사적 경험의 편차에서 오는 체험의 이질성이며, 다른 하나는 ‘현대’라는 보편적 시대에 대한 의식의 차이였다. 여기에서 그들은 모더니스트를 자처하면서도 신영토를 개척하지도, 내면성과 전통의식을 가지지도 못했던 30년대 모더니스트들과 ‘청록파’ 등의 전통 서정시를 비판하면서 새로운 문학을 주장한다. 모더니즘의 새로운 방법과 현실 비판적 성격은, 조향의 ‘데빼이즈망(depaysement)의 미학’으로 대표될 수 있는 초현실주의적인 기법에 의한 형식 실험, 김경린의 ‘이데오프라스티(ideoplaty)’의 세계로 대표되는 이미지와 메타포의 활용을 통한 언어적 기능과 운용의 확대, 송욱의 산문적 리듬, 지성의 중시, 그리고 이봉래, 김규동, 김수영 등 현대의 불안과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생활’과 ‘시대정신’의 강조 등에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modernism in the 1950s demanded a new perception of the reality to the post-war literary men. That is the very perception of the reality and modernity based on it becoming the focal point in the post-war modernism. The modern times they perceived was devastating age according to existential feeling and restriction of ideology by the Korean War. In this situation, they came to maintain new perception, content and method to the reality and discrimination to literature they had denied so much. Looking at it from its tendency of post- ideology, a question can be raised to its orthodox.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originating condition of western modernism, and that of Korean one is not same, rather their modernistic perception of the reality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proper literary form.
목차
1. 서론
2. 부정적 시각 속의 현실인식-박인환
3. 지성적 시선 안의 현실지향-이봉래
4. 새로운 시선의 현실감각-김경린, 김규동
5. 건강한 시각의 강렬한 사회의식-김수영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회원 동정
- 주요 활동 일지
- 문학독서를 통한 인성지도
- 《새국어교육》 투고 규정
- 모더니즘의 현실인식
- 구성주의적 독서교육 방안 탐색
- 학생 작문의 다니엘 효과와 예상독자 인식의 방법
- 외래어 표기의 실제와 그 대안에 대하여
- 최인훈의 소설 <구운몽> 연구
- 국어사 교육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방향
- 화자 김태희의 문학의 생활화에 대한 연구
- 《새국어교육》 발간 규정
- 정인홍 설화에서 살펴본 세계 인식의 문제
- 사이시옷과 의미관계
- 『張吉山』論
- 훈민정음의 기원설
- 회칙
- 《새국어교육》 논문 심사 규정
- 김순석의 시적 행로와 향토적 미의식의 확대
- 편집위원회 규정
- 교육방송 VOD 및 ICT를 활용한 자기표현능력 신장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