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훈민정음의 기원설
이용수 27
- 영문명
- A Study on the Origin of Hunminjeongum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황경수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0호, 221~23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훈민정음 기원설은 훈민정음이 어느 문자의 계통을 이어 받아서 창제 되었는지 밝히려는 설명이나 학설이고, 훈민정음의 제자원리가 무엇인가를 연구하는 것이다. 훈민정음 기원설은 내용상으로는 모방설과 상형설로 나눌 수 있다. 안동에서 원본훈민정음이 발견되기까지는 모방설이 많은 학자들에 의해 제기 되었었고, 그 이후에는 상형설이 기원설의 주된 설로 자리 잡고 있었던 것이다. 지금도 모방설이 간간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鄭麟趾序에서도 말한 바와 같이 ‘正音之作 無所祖述而成於自然’이라 어느 문자를 모방함이 없이 독창적으로 이루어진 문자라고 하였다. 하지만 각국의 문자나 재래의 문자를 참고는 하였을 것이나 여러 가지 기원설이 제기되고 있는 것은 다른 문자들과 일부에서 같은 점이 있어서 일 것이다. 여러 기원설 중에서 고전기원설, 몽고자문자기원설, 기일성문도기원설, 상형설 등이 있다. 기원설에 대하여 자세히 논의 하고, 그 진위와 상형설에 의한 기원설을 고찰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Hunminjeongum is a phonetic system of writing devised for and used exclusively in, the Korean language. It was no exaggeration for Jeong Inji(鄭麟趾) to say, when he wrote the preface to the Hunminjeongum(訓民正音) the Royal Rescript which presented this system to the Korean people.
Among the thousands of kinds of writing developed by man, Hunminjeongum is outstanding in that, while others were the result of a gradual process of evolution, this was the product of one man, and was produced at a specific date practically in the form we have it now. The author particularly emphasized as objects of his work the desire to meet the needs of the common people by providing them with a means of expressing their thoughts in writing, and the hope of propagating a truly national culture. To quote again from the introduction to the Hunminjeongum.
Secondly, pronunciation differs according to locality, but no different letters are given to allow for local dialects.
Thirdly, Hunminjeongum which is mere novelty will cause hindrance to study, disadvantage and inefficiancy to administration.
Fourthly, it is said that when a man is accused of a capital crime, Hunminjeongum will help him avoid being falsely charged and convicted by enabling him to make his statement clearly and correctly in Hunminjeongum.
Fifthly, if we must invent Hunminjeongum it is a major matter requiring careful consideration and unanimous support both of common people and Government officials.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회원 동정
- 주요 활동 일지
- 문학독서를 통한 인성지도
- 《새국어교육》 투고 규정
- 모더니즘의 현실인식
- 구성주의적 독서교육 방안 탐색
- 학생 작문의 다니엘 효과와 예상독자 인식의 방법
- 외래어 표기의 실제와 그 대안에 대하여
- 최인훈의 소설 <구운몽> 연구
- 국어사 교육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방향
- 화자 김태희의 문학의 생활화에 대한 연구
- 《새국어교육》 발간 규정
- 정인홍 설화에서 살펴본 세계 인식의 문제
- 사이시옷과 의미관계
- 『張吉山』論
- 훈민정음의 기원설
- 회칙
- 《새국어교육》 논문 심사 규정
- 김순석의 시적 행로와 향토적 미의식의 확대
- 편집위원회 규정
- 교육방송 VOD 및 ICT를 활용한 자기표현능력 신장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