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화자 김태희의 문학의 생활화에 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living of literature' of storyteller Kim, Tae-he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기창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0호, 263~302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요즈음 관련학계에서는 ‘문학의 생활화’가 많이 거론되고 있다. 이는 문학을 삶의 일부로 여기고 문학과 함께 일상의 삶을 영위해 나가는 것을 뜻한다. 필자가 설화를 채록하면서 만난 김태희는 어깨 너머로 한글을 익힌 83세 할머니이다. 풍부한 독서 경험이 바탕이 되어 고소설 및 설화의 강독, 구연, 외워 쓰기 활동을 오랫동안 해 왔고, 요즘은 생활문 중심의 글쓰기를 활발하게 하는 등 문학의 생활화를 통해 노년의 풍요로운 삶을 누리고 있다. 필자는 김태희의 개인사를 살펴보고, 그의 문학적 활동의 여러 가지 내용, 삶과 문학적 활동과의 관련 양상을 구명(究明)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ese days, 'the living of literature' has become a popular issue among the public.
'The living of literature' means not only to read and savor the literary works but to consider them as 'a part of the life' and enjoy reading them in the everyday life. In this respect, storyteller Kim, Tae-hee excellently pursues a living of literature though she is an old woman, 82 years old. I commenced my study to examine how the old story-teller has been taken literature into her life and which backgrounds have influenced her literary life.
First, considering the respects of her personal history, she has brilliant literary talent and has read lots of korean old novels in the good growth environment. Also, she has been acknowledged in the field of textual exposition and oral narration due to her excellent retentive faculty, and she has been showing energetic writing by memorization activities at the base of these given conditions. Nowadays, she often makes a composition on the various features of daily life considering and selecting the fit literary genres, and enjoys them through recitation. Also, she often posts them on the walls and sends them to others sometimes. She is making a romantic life and cultivating her life plentifully through literary activities in her declining years.
I intend to defer more advanced study of the each part to the next time.
목차
Ⅰ. 머리말
Ⅱ. 개인사
Ⅲ. 문학적 활동
Ⅴ. 화자의 삶과 문학적 활동과의 관련 양상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회원 동정
- 주요 활동 일지
- 문학독서를 통한 인성지도
- 《새국어교육》 투고 규정
- 모더니즘의 현실인식
- 구성주의적 독서교육 방안 탐색
- 학생 작문의 다니엘 효과와 예상독자 인식의 방법
- 외래어 표기의 실제와 그 대안에 대하여
- 최인훈의 소설 <구운몽> 연구
- 국어사 교육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방향
- 화자 김태희의 문학의 생활화에 대한 연구
- 《새국어교육》 발간 규정
- 정인홍 설화에서 살펴본 세계 인식의 문제
- 사이시옷과 의미관계
- 『張吉山』論
- 훈민정음의 기원설
- 회칙
- 《새국어교육》 논문 심사 규정
- 김순석의 시적 행로와 향토적 미의식의 확대
- 편집위원회 규정
- 교육방송 VOD 및 ICT를 활용한 자기표현능력 신장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