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성주의적 독서교육 방안 탐색
이용수 7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ading Education of Constructivism Perspectives: focused Radical Constructivism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상구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0호, 101~145쪽, 전체 4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31
8,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 나라의 구성주의적 독서교육은 1990년 중반까지는 인지적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논의되어 오다가 1990년대 후반을 넘어서면서 사회적 구성주의를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 들 두 관점 즉, 인지와 사회를 통합하는 사회인지이론이 대두되면서, ‘인지→ 사회 → 인지+사회’로 변화해 왔다는 얘기가 정설처럼 굳어져 가고 있다.
그러나 70년대 중반에 발생한 독일의 ‘급진적 구성주의(radical constructivism)’는 처음부터 ‘인지’와 ‘사회’를 통합하고 있음에도 우리 나라 독서교육 논의에서 제외되어 왔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독서교육에 있어서 급진적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한 교육 내용, 교육 방법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급진적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한 독서교육은 독해전략을 교사의 시범으로 가르치는 읽기 <전략 학습 단계>와, 독서에 관한 명제적 지식(존재론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경험적 지식)을 가르치려는 기존의 인지적 구성주의에서의 독해 전략을, 교사의 시범과 개별 학습자가 텍스트를 읽고 난 뒤 형성된 각자의 소통소를 바탕으로, 소집단 내의 구성원들이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의미를 구성하는 2. 협동학습 (커뮤니케이션 과정) 단계로 이어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그 동안 우리 나라 독서교육에서 소외되어 왔던 독일의 급진적 구성주의가 처음부터 ‘인지’와 ‘사회’ 두 관점을 결합하여 오늘날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사회인지이론의 형태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ur country's constructive reading education had been discussed based on cognative constructivism until the middle of 1990s, and since then, it has been focused on social constructivism. Recently, as sociocognativism of both of the cognation and society protrudes, the saying of 'cognation → society → cognation+society' has been settled as an established theory.
However, even though German's 'radical constructivism' which appeared in the mid 70s combinated 'cognation' and 'society', it has been excluded in our country's discussion about reading education. Thus, perceiving the problem, this research looks at the contents and the means of reading education.
In the result, it is found that the reading education based on radical constructivism is developed from the a teacher teaches as an example, each of the communicat formed after an individual learner reads the text, to a cooperative learning level the members of a small group forms though their communication.
Such a research result shows that German's radical constructivism, which has been neglected in our country, initially has the form of sociocognativism that lately emerges combinating the two points of 'cognation' and 'society'.
목차
Ⅰ. 머리말
Ⅱ. 급진적 구성주의와 독서교육적 관점
Ⅲ. 급진적 구성주의에 터한 독서교육의 방법론적 설계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회원 동정
- 주요 활동 일지
- 문학독서를 통한 인성지도
- 《새국어교육》 투고 규정
- 모더니즘의 현실인식
- 구성주의적 독서교육 방안 탐색
- 학생 작문의 다니엘 효과와 예상독자 인식의 방법
- 외래어 표기의 실제와 그 대안에 대하여
- 최인훈의 소설 <구운몽> 연구
- 국어사 교육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방향
- 화자 김태희의 문학의 생활화에 대한 연구
- 《새국어교육》 발간 규정
- 정인홍 설화에서 살펴본 세계 인식의 문제
- 사이시옷과 의미관계
- 『張吉山』論
- 훈민정음의 기원설
- 회칙
- 《새국어교육》 논문 심사 규정
- 김순석의 시적 행로와 향토적 미의식의 확대
- 편집위원회 규정
- 교육방송 VOD 및 ICT를 활용한 자기표현능력 신장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