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통일전략학회
- 저자명
- 오수열
- 간행물 정보
- 『통일전략』2권 1호, 325~34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동북아지역의 평화와 안정에는 한반도의 정세가 가장 크게 작용하고 있다. 동시에 한반도의 정세변화에는 남북한관계 뿐만 아니라 이른바 4대 강국으로 불리우는 주변 이해 관련국가들 그 중에서도 미국과 중국의 역할이 매우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한반도가 통일을 이룩하는데는 이들 두 강대국가의 동북아 정책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며, 이들 두 강대국가들 또한 한반도의 정세 변화로부터 그들의 위상과 좌표 설정에 적지 않게 영향을 받게 된다. 한반도의 통일을 이룩하는 데는 지금까지 분단국가의 통일방식에서 나타난 여러 가지 방식들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며, 이들 각기 상이한 통일 방식에 대한 미국과 중국의 시각 또한 한반도의 통일에 크게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미·중의 대동북아 정책을 분석하고, 한반도 통일에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통일 방안, 그리고 이들이 미·중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통일에 대한 제약요인들은 축소시키고, 그 극복방안을 강구해 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머리말
Ⅱ. 미국의 동북아정책
Ⅲ. 중국의 동북아정책
Ⅳ. 한반도 통일방식이 미·중에 미치는 영향
Ⅴ. 한반도 통일방식이 미·중에 미치는 영향
Ⅵ. 맺는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해교전과 우리의 대응
- 학회회칙 외
- 한반도 주변 4강의 대한반도 정책과 우리의 통일외교전략
- 김대중 정부 대북정책의 현황과 과제
- 서해교전의 발발배경과 대북정책의 방향
- 학회보 제2권 제1호를 발간하면서
- 북한 대남 전략전술의 분석과 우리의 대응
- 부시행정부의 대북정책과 우리의 대응전략
- 북한의 통치이데올로기와 그 변용
- 남북한 평화공존과 남한내부의 갈등해소 방안
- 북한이탈주민의 생활실태와 지역정착 활성화 방안
- MD정책의 한반도 안보에의 함의
- 북한사회주의 경제체제의 변화에 관한 연구
- 미·중의 동북아정책과 한반도의 통일 방식
- 민족공동체 형성의 역사적 접근 방법
- 남북연합 형성 과정에서 미국의 역할과 대미 전략
- 서해교전과 우리의 안보적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