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북정책과 통일교육정책

이용수 17

영문명
Reunification Education Policies Revisited
발행기관
한국통일전략학회
저자명
김재한
간행물 정보
『통일전략』7권 2호, 7~54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8.31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일정책을 그 대상에 따라 대북정책, 대주변국정책, 통일교육정책 등 세 가지로 구분한다. 북한을 대상으로 하는 대북정책과 남한 내부를 대상으로 하는 통일교육정책은 서로에게 영향을 준다. 통일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의 사설내용을 비교하였다. 노태우/김영삼 정권 및 김대중/노무현 정권 동안 북한 정권에 대한 인식 및 계층 간 인식차이에 변화가 별로 없음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정부 대북정책에 대한 계층 간 인식차이는 김대중/노무현 정권에 오히려 증대했음을 확인하였다. 이 점에서는 통일교육정책이 성공적이지 않음을 주장한다. 즉 만일 통일교육정책이 실패했다고 한다면, 그 이면에는 대북정책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통일교육 방법론으로 과잉홍보 자제 및 현장체험 교육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re are three kinds of reunification policies by their target: policies toward North Korea, polices toward surrounding major powers, and reunification education. Seoul's polices toward North Korea and its reunification education toward South Korea's people have an effect on each other. Chosunilbo's and Hankyoreh's editorial articles show that their perceptions on North Korea's regime have not been changed. Instead, their perceptions on Seoul's policies toward North Korea have been polarized. Chosunilbo's criticism on the government's policies have increased while Hankyoreh's has decreased. The current reunification education has not succeeded in harmonizing some opinions with others. Excessive public relations are not recommended in reunification education, but such field studies as the DMZ exploration are suggested.

목차

Ⅰ. 통일정책의 대상과 통일교육정책의 주체
Ⅱ. 대북정책과 통일교육정책 간 상호관계
Ⅲ. 연구가설 및 자료
Ⅳ. 북한 및 대북정책에 관한 계층 간 인식 차이의 변화와 지속
Ⅴ. 통일교육의 방법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한. (2007).대북정책과 통일교육정책. 통일전략, 7 (2), 7-54

MLA

김재한. "대북정책과 통일교육정책." 통일전략, 7.2(2007): 7-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