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觀光開發에 대한 地域住民의 集團行動 特性과 役割
이용수 9
- 영문명
-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Residents' Collective Action towards Tourism Development: A Case of Yere, Jeju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강태원 김진 고동완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35권 제1호, 99~12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2.28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집단행동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무엇일까라는 의문에서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집단행동을 지역사회론적 입장에서 논의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제주도 예래동 지역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고, 지역 언론보도, 문헌자료 등 및 30명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통하여 지역주민의 집단행동이 가지는 특성과 역할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주민의 집단행동은 외부의 강압에 의해 지역사회의 변화가 예상될 때 발생하며, 집단행동의 형태와 강도는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대응하며 발전과 진화의 과정을 거친다고 할 수 있으며, 크게 네 개의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집단행동은 지역사회의 정체성을 보전하고 강화하는데 기여하였다. 둘째, 집단행동의 참여효과로써 개인적ㆍ집단적 효능감이 증진되었다. 셋째, 집단행동을 통해 지역애착심이 향상되었다. 예래동의 주민들은 자손들에게 물려주고 싶은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사회․문화적인 환경을 지키고자 하는 ‘지역 애착심’과 지역사회를 더욱 발전시켜 자손들에게 물려주고 싶어 하는 ‘지역 애착심’이 동시에 나타냈다. 넷째, 집단행동은 자연환경 및 경관을 보전하는데 기여하였다. 무분별한 관광개발로 인하여 예래동의 환경에 대한 문제점을 새롭게 인식하게 된 결과, 지역주민 스스로 「예래환경연구회」를 조직하여 활발하게 환경보전과 환경개발에 앞장서고 있으며, 이러한 집단행동은 주변 환경에 대한 보전과 감시의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관광개발에 있어서 집단행동은 통상적으로 묘사되는 부정적 영향보다는 의사결정 과정에 지역주민의 집단적인 참여를 유도하며, 과격한 시위보다는 지역사회와 협력의 관계를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집단행동의 이해를 위한 중요한 기초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residents' collective action against a tourism development plan in the rural community of Yere, Jeju. The residents of the region experienced collective actions against government plan of sewage treatment plant development and holiday resort development during the 1990s and 2000s. Data were collected from exhaustive in-depth interviews with thirty residents of Yere, Jeju in 2009. Results showed that the collective actions of the residents played four important roles in their community. First, residents' collective actions contributed to preserving and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Secondly, the residents' efforts to participate in the collective actions enriched collective efficacy of each individuals and the community as a whole. Results also showed that in the process of collective actions, residents' attachment to the community was also formed Finally, the collective actions also made a contribution to the pre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and see-sigh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광개발 추진과정에 있어서 지역주민 참여와 통합에 관한 연구
- 컨벤션 개최지 선호에 관한 연구
- 여가제약협상모델의 타당성 검증 연구
- 觀光開發에 대한 地域住民의 集團行動 特性과 役割
- 관광관련 학회지 심사위원들의 투고논문 심사기준 및 게재판정방식 분석
- 호텔지배인의 경력몰입의 선행요인과 경력변경의도와의 관계
-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에 따른 패스트푸드 기업의 재무상태 변화에 관한 사례분석 연구
- 관광목적지 방문 전․후 이미지 차이에 관한 연구
- 관광기업 유형별에 따른 조직 내 네트워킹 행동이 관광기업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충남 청양의 토종닭 체험관광상품 개발전략
- 개최지역과 주변관광지 주민의 이벤트영향 인식
- 여가제약과 여가동기의 구조적 관계
- 새로운 조사방법에 대한 연구
- 관광자들의 모바일 사용동기에 따른 모바일 관광 서비스 선호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Q방법론을 이용한 저비용 항공사 고객유형에 관한 연구
- [券頭言] 『관광학연구』의 SSCI 등록을 기대하며!
- 경제변수가 국내여행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