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학 문식성으로서 학습자의 감수성 구조 연구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Learner’s Sensibility as Literary Literacy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김혜진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22호, 99~12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이 연구는 학습자가 문학을 통한 가치 있는 체험을 할 수 있는 문학 문식성으로서 학습자의 감수성 개념을 제안하고 그 구조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이를 위해 문학 문식성과 감수성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살펴, 문학 문식성으로서 학습자 감수성 개념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정동이론과 정서지능이론의 논의를 기존의 문학 감상 방법에 적용하였다. 결과:문학 문식성은 기능적 영역을 벗어나 문학 경험이 지니는 정의적 속성에 주목하여 실제 삶 속 학습자의 자아실현을 가능케 하는 능력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학습자의 능력을 구체화하기 위해 자극을 느끼고 표현하는 작가의 성질로 여겨졌던 ‘감수성’을 학습자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문학 문식성으로서 학습자의 감수성은 문학작품의 자극에 대해 체험하였으나 형상화되기 이전의 상태인 정동을 학습자가 기억을 통해 실제적으로 표현하여 자기화하는 능력으로 구조화되었다. 이때 기억을 통한 체험의 형상화는 문학작품에 대한 몰입과 거리두기의 작용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결론:이 연구는 몰입을 위한 자극의 차원인 정동을 도입하고 현실적 주체 인식을 위한 정서적 거리를 학습자의 기억에 의거한 자신의 정서 인식에서 찾아 학습자의 내적 체험을 문식성으로 구조화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The study aims to suggest the concept of learners’ sensibility and reveal its structure as a literary literacy that allows learners to experience valuable experiences through literature. Methods:To this end, the existing discussion on literary literacy and sensibility was examined, the possibility of the concept of learner’s sensibility as literary literacy was discovered, and the discussion of affect theory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ory was applied to the existing method of literary appreciation. Results:Literary literacy is regarded as the ability to enable the self-realization of learners in real life, noting the affactive property of literary experience beyond functional boundaries. To embody this learner’s ability, we looked at the ‘sensibility’ from the learner’s point of view, which was considered to be the nature of the writer who felt and expressed the stimulus. As a result, the learner’s sensibility as a literary literacy, affect which was experienced about the stimulus of literary work but was in a state before it was shaped, was structured with the ability of learners to actually express and personalizing through memory. Conclusion: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introduced the level of stimulation for flow, and found emotional distance for realistic subject recognition from the learner’s own emotional perception based on his or her memory, thus structured the learner’s inner experience with a literacy.

목차

1. 서론
2. 문학 문식성의 개념
3. 문학 문식성으로서 학습자의 감수성
4. 문학 문식성으로서 학습자의 감수성 구조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진. (2020).문학 문식성으로서 학습자의 감수성 구조 연구. 새국어교육, (), 99-123

MLA

김혜진. "문학 문식성으로서 학습자의 감수성 구조 연구." 새국어교육, (2020): 99-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