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화성 천천리 구석기 유적(2021년 발굴) 석기 분석

이용수 133

영문명
An analysis of lithic artefacts on Whaseong Chenchen-ri Site(2021 excavation)
발행기관
한국구석기학회
저자명
김은정 이정진 박원철
간행물 정보
『한국구석기학보』제46호, 37~6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1년에 발굴조사된 화성 천천리 구석기시대 유적의 출토유물을 대상으로 석기 분석을 진행하였다. 전체 200㎡를 대상으로 한 소규모 발굴이었으나, 표본조사를 포함한 발굴조사에서는 전체 125점의 유물이 집중도를 보이며 드러났다. 유물을 대분류하면 석기제작과정의 산물류 96점, 도구류 23점, 석기제작용 공구류 3점, 원석류 3점 등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석기제작의 모습을 그려볼 수 있는 유물이 모두 102점으로 전체의 82% 정도이다. 현재 발굴조사된 범위는 전체 유적의 문화층 중 극히 일부분만 발굴되었음을 고려할 때, 유적의 명확한 성격 이해에는 한계가 있다. 다만 지금까지의 조사성과로 볼 때 규모가 있는 석기제작터의 일부가 드러났고, 아울러 밀개와 뚜르개, 부리날석기 등의 특정 석기를 보다 중점적으로 사용했던 지점이 발굴되었다고 볼 수 있다. 곧 석기 제작 및 사용의 모습을 모두 엿볼 수 있는 생활터로써의 성격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문화층에서 출토된 도구류는 23점이며, 종류는 주먹도끼(1점), 대형밀개(2점), 밀개(6점), 뚜르개(4점), 긁개(2점), 부리날석기(3점), (잔)손질있는조각(4점), 사용흔있는조각(1점) 등이다. 특히 밀개의 경우, 날의 곡률을 중심으로 비교했을 때 대-중-소형의 3개 그룹의 날이 갖추어져 있음을 볼 수 있다. 곧 밀개를 사용한 가죽 처리 및 가공과 관련한 일련의 작업이 이루어졌으리라 추정된다. 뚜르개의 경우 격지의 위끝에 간단한 떼기로 날을 조성하였는데 몸체의 형태를 잘 활용한 도구 제작 방법으로 볼 수 있다. 격지는 모두 18점이 출토되었는데, 이 중 7점에 격지 위끝떼기 흔적이 남아있어 특징적이다. 위끝떼기는 2가지 방법으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격지의 너비방향으로 떼는 방법이고, 또 하나는 두께방향으로 떼는 것이다. 너비방향떼기로는 비스듬한 면과 날이 조성되고, 두께방향떼기로는 면이 형성되는데 각각 3점과 4점으로 구분된다. 도구 제작과 관련하여 날 혹은 잡이 조정을 위한 떼기로 추정된다. 몸돌에 남아있는 격지 뗀 자국에 비해 실제 출토된 격지의 길이가 훨씬 작은 점, 격지 위끝에 떼기가 이루어진 것이 7점이나 확인되는 점, 격지의 굽이 점굽 혹은 선굽의 빈도가 높은 점 등을 종합하면, 석기제작터에서 격지를 몸체로 하여 한 번 더 뗐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바꿔 말하면 격지에서 다시 더 작은 격지를 떼는 경우가 빈번했음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며, 이는 몸체로 이용하기보다는 도구 제작과 관련된 떼기로 연결시켜 볼 수 있다. 아울러 격지 위끝떼기는 천천리 유적에서 소형의 도구를 제작하는 간단하고 독특한 기법이다.

영문 초록

The investigation of a site for the new building of a factory in Cheoncheon-ri, Maesong-myeon, Hwaseong City, Gyeonggi-do, a paleolithic cultural layer was excavated. At the distance of around over 50m on the other side of a lane on the northwestern side of this point, the Hwaseong Cheoncheon-ri Paleolithic Site that had been excavated in 2014 is located. At the time, as a result of the excavation that had been limited to 60㎡,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site was formed from the Late Middle Paleolithic to the Early Upper Paleolithic. It was also estimated that the Paleolithic cultural layer had been distributed widely around this area. We had analyzed with lithic artefacts on Hwaseong Cheoncheon-ri Paleolithic Site had been excavated in 2021. Even though It had been excavated a small scale with a total of 200㎡, 125 pieces of the lithic astefacts had been yielded including the sample investigation while showing a degree of concentration. Excavated lithic artefacts are classified into 4 groups; 96 pieces of the primary products derived from the tool-manufacturing process, 23 pieces of tools, 3 pieces of striking tools for the edged tool-manufacturing, 3 pieces of the raw materials, etc. A total of 102 pieces of artefacts that can be interpreted as the tool-manufacturing process are about 82% of the total. Considering that had been excavated only a small part of the cultural layer of the entire at the presen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ing of the clear and definite personalities of the site. When seen with the investigation performance until now, a part of the lithic workshop that had a scale was reveale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a point where the specific tools, including end-scraper, awl, bec, etc., had been used more emphatically had been excavated. Indeed, It can be assumed as a base-camp where regarding the production of tool-manufacturing and use. A total of 23 tools were excavated from the cultural layer, the kinds are the following: Handaxe(1), large end-scraper(2), end-scraper(6), awl(4), scraper(2), bec(3), retouched debris(4), utilized debris(1), etc. Especially, compared with the curvature of the edge from the end-scraper, it can be seen that the 3 groups including the large, the middle, and the small-sized. Indeed, it is estimated that the handling of the leather by using the end-scraper and a series of the work that were related to the processing had been materialized. In the case of the awl, an edge was simply retouched at the distal part of the flake. It can be seen as a retouch method that had utilized the form of the blank well. A total of 18 pieces of flakes were excavated. Among these,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traces of the reshaping of the flakes of the 7 pieces had remained. The reshaping is distinguished into 2 kinds of methods. One is the method of flak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ake. And another thing is flaking in the direction of the thickness. With the wide direction flaking get formed the slanting facet and the edge. And with the thickness direction flaking gets a facet. Each is distinguished into 3 pieces and 4 pieces. In relation to the tool-manufacturing, it is presumed to be an edge or a holder for each. Also, if the following are synthesized; an aspect that the length of the flakes are shorter than the length of debitage surfaces of cores, an aspect that the frequency of the punctiform or the linear butt of flakes are high, an aspect that the reshaping of the flakes are confirmed as 7 pieces, etc., we can infer that with the original flakes as the blank, it was flaked once again at the lithic workshop. To speak differently, it directly shows that the case in which a smaller flake was flaked again from the original flake had been frequent. And regarding this, instead of using as a blank that smaller flake, it can be seen as a retouch technuque that is related to the tool-manufacturing. In conclus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유적 개요
Ⅲ. 유물 분석
Ⅳ. 고찰: 유적의 성격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정,이정진,박원철. (2022).화성 천천리 구석기 유적(2021년 발굴) 석기 분석. 한국구석기학보, (), 37-64

MLA

김은정,이정진,박원철. "화성 천천리 구석기 유적(2021년 발굴) 석기 분석." 한국구석기학보, (2022): 37-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