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술적 관점에서 가로날도끼 읽기
이용수 253
- 영문명
- Reading the Cleaver from a Technical Perspective: Based on the pieces excavated from Jeongok-ri in 2021
- 발행기관
- 한국구석기학회
- 저자명
- 박성진
- 간행물 정보
- 『한국구석기학보』제46호, 65~104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곡리유적은 한반도를 대표하는 유적으로서, 동아시아지역에서 아슐리안 양면석기의 존재 여부에 관한 국제 학계의 논쟁에서 핵심이 되는 유적이다. 지금까지 이 유적에서 출토된 양면석기는 주로 형태 중심의 형식 분류학적 방법론에서 연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론은 양면석기의 두 가지 종류인 주먹도끼와 가로날도끼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그 대안으로 기술학적 관점에서 가로날도끼의 정의, 분류를 시도하였다. 기술학적 관점에서 볼 때 가로날도끼의 기술적 핵심은 ‘선결성’에 있으며 그 형식들도 ‘선결도’에 따라 나눌 수 있다. 2021년 발굴조사에서 찾아진 가로날도끼 다섯 점을 이와 같은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은 기술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 가로날도끼였다. 또한, 북아프리카 아슐리안 유적에서 출토된 가로날도끼와 기술적 측면에서 비교해 보았지만, 기술적 측면에서 북아프리카 아슐리안 유적에서 출토된 가로날도끼와 비교해 보았지만, 양 지역 간에는 근본적인 격차는 발견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e Jeongok-ri site is a representative Paleolithic sit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s a key site for international academic debates on the existence of the Acheulean in East Asia. Up to now, the bifaces excavated from this site have been mainly studied with a typological methodology based on form. However, this methodolog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does not clearly indic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bifaces, hand-axe and cleaver. Therefore, in this paper, we tried to define and classify the cleaver as an alternative from the technical point of view. From a technological point of view, the key to a cleaver lies in ‘predetermination’, such as whether the time of creation of the cutting edge and the shape of the stone tool are determined at the debitage or the shaping stage and various types of cleavers can also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edetermin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as a result of analyzing five cleavers found in the excavation in 2021, most of them showed high-level skills. In addition, a technical comparison was made with the cleavers excavated from Acheulian sites in North Africa,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regions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사, 정의 그리고 분류
Ⅲ. 개별 유물의 기술적 분석
Ⅳ. 제작 기술과 방법에 관한 해석 및 비교
Ⅴ.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