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웰빙(Well-Being) 관점에서의 초등 실과 교과서 의생활 단원 분석

이용수 69

영문명
Analyzing Clothing Life Units in Practical Arts Textbooks in Terms of Well-Being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정미경(Chung, Mee-Kyung)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5권 제4호, 125~14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실과 교과서의 의생활 단원을 웰빙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실과 교과서 의생활 단원 집필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웰빙 관련 문헌의 수집·분석을 통하여 웰빙의 개념을 파악하고, OECD의 BLI 11개 지수를 수정·보완하여 웰빙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옷 입기와 의생활 예절’ 단원은 모든 교과서에서 공동체, 교육, 건강, 삶의 만족, 안전의 5개 요소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직업 요소는 교과서에 따라 밀접한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안전한 옷차림’ 단원은 모든 교과서에서 교육, 건강, 안전 요소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직업, 삶의 만족 요소는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옷의 정리와 보관’ 단원은 모든 교과서에서 교육, 환경, 건강, 안전 요소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시민참여, 삶의 만족 요소는 밀접한 관련이, 공동체는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거, 직업 요소의 경우는 교과서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넷째, ‘생활 소품 만들기’ 단원의 ‘기초 바느질과 수선’에서는 모든 교과서에서 교육, 환경이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삶의 만족, 안전이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동체는 한 개의 교과서만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생활 소품 만들기’ 단원의 ‘다양한 도구로 생활 소품 만들기’에서는 모든 교과서에서 교육, 환경이 매우 밀접한 관련이, 안전은 밀접한 관련이, 일과 삶의 균형은 어느 정도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 시민참여 요소는 교과서에 따라 정도에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대부분의 실과 교과서의 의생활 단원은 학생들의 웰빙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그러나 의생활 각 단원에서 주거, 직업, 공동체, 시민참여 요소 등은 교과서 간에 차이를 보인 만큼 다음의 교과서 집필에 참고 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To provide basic data for writing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practical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d clothing life units found in practical arts education textbooks. In this context, the primary focuses were well-being and helping students achieve good lives through clothing life education. To meet this goal, relevant data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concept and content elements of well-being based on 11 indices derived from the OECD BLI. Specifically, these were used as criteria to analyze clothing life units found in six type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11 well-being factors included housing, income, job, community, education, environment, civic participation, health, life satisfaction, safety, and work-life balance.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joring in practical education reviewed the content analysis for valid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Wearing Clothes and Etiquette” unit was highly related to six elements, including occupation, community, education, health, life satisfaction, and safety. Second, the “safe clothing” unit was related to five factors, including job, education, health, life satisfaction, and safety. Third, the “Organization and Storage of Clothes” unit was related to nine factors, including housing, job, community, education, environment, civic participation, health, life satisfaction, and safety. Fourth, in the “Basic Sewing and Repair” section of “Making Household Items,” five factors were related to community, education, environment, life satisfaction, and safety. Fifth, in the “Making Daily Items with Various Tools” section of “Making Daily Items,” the seven elements of occupation, community, education, environment, civic participation, safety, and work-life balance were related. Based on these results, most clothing life units found in practical arts education textbooks were related to all well-being factors, except for income. This arrangement greatly contributes to student well-be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미경(Chung, Mee-Kyung). (2022).웰빙(Well-Being) 관점에서의 초등 실과 교과서 의생활 단원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5 (4), 125-147

MLA

정미경(Chung, Mee-Kyung). "웰빙(Well-Being) 관점에서의 초등 실과 교과서 의생활 단원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5.4(2022): 125-1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