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럽연합(EU)의 반도체 산업 정책이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에 갖는 의의

이용수 49

영문명
European Union’s Plan to Support Semiconductor industry: Another Pillar of Open Strategic Autonomy?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강유덕(Yoo-Duk Kang)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6권 제6호, 489~51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핵심산업의 공급망을 둘러싼 패권경쟁에 주목하고, EU의 입장과 정책을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EU가 표방하는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과 EU의 반도체 산업지원 정책이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고찰하였다. EU는 유럽단일시장에서의 경쟁 왜곡을 이유로 역내에서는 보조금을 통한 산업정책을 엄격하게 통제했고, 역외의 글로벌 공급망에 대해서는 국제 분업의 자연스러운 결과로 간주했다. 반면에 미-중 패권경쟁의 격화, 코로나19 팬데믹 등은 유럽을 둘러싼 공급망에 혼선을 불러일으켰고, EU가 산업정책을 강화하는 결정적인 배경이 되었다. 한편 EU가 추진 중인 그린딜/디지털 전환 또한 자체적인 공급망 강화 정책을 선택한 이유이다. 다만 EU의 정책은 글로벌 공급망을 완전히 역내 공급망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은 아니다. 취약한 반도체 산업의 설계 및 제조 분야에서 일정한 역량을 확보함으로써 외부에 대한 의존도를 ‘통제할 수 있는 수준’으로 축소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미 경쟁력을 보유한 분야의 우위를 계속 강화해 나가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EU의 정책은 ‘개방적’ 성격과 ‘전략적’ 성격의 얼핏 양립이 어려운 두 개념을 절충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EU의 사례가 한국의 반도체 산업에 주는 시사점으로는 우선 반도체 생태계 중 상대적으로 취약한 소부장 분야를 보완해야 하며, 제조 분야의 비교우위가 소실되지 않도록 연구·개발을 집중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투자와 혁신을 유발할 수 있는 규제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global supply chains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and analyzes the EU’s position and policies. It argues that the EU’s support plans for its semiconductor industries are closely related to its open and strategic autonomy. The push towards the development of EU industrial policies are driven by several factors, such as heavy industrial subsidies of other countries and increasing tensions in global supply chains amid the US-China competition, as well as the increasing acknowledgment that public investment is necessary to achieve the ambitious European objectives such as the green deal and digital transformation. The EU’s industrial policies do not aim to replace global supply chains with European ones, but it attempts to strengthen the industrial ecosystem in Europe. The goal is mainly to reduce external dependence to a “controllable level” by securing specific capabilities in the upstream and manufacturing stages of the semiconductor sector. It also aims to solidify further its industrial edges in the competitive area. Such a policy can be viewed as an attempt to reconcile two challenging concepts, ‘open’ and ‘strategic’ in the EU’s external policy stance.

목차

Ⅰ. 서론
Ⅱ. 반도체 산업의 현황과 유럽의 위치
Ⅲ. EU의 산업정책과 반도체 산업
Ⅳ. 유럽 반도체 법의 의미와 취지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유덕(Yoo-Duk Kang). (2022).유럽연합(EU)의 반도체 산업 정책이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에 갖는 의의. 한국과 국제사회, 6 (6), 489-519

MLA

강유덕(Yoo-Duk Kang). "유럽연합(EU)의 반도체 산업 정책이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에 갖는 의의." 한국과 국제사회, 6.6(2022): 489-5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