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의사의 진료분야와 의료 적용분야의 AI 도입과 유용도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이용수 244
- 영문명
- A study on conceptual recognition of Korean Medicine doctor for useful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Korean Medicine department and medical application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목경열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0 No.2, 413~42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 플랫폼을 이용하여 한의사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의 한의학의 진료과목 및 적용분야에 대한 적용가능성 및 그 인식을 분석하였다. 응답자들은 대부분 AI와 관련된 학문적 경험이나 연구 경험에 참여할 기회가 없었지만 향후 학습 및 연구에 참여할 의향이 높았다. AI에 대한 이해도는 대부분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 수준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AI가 한의학에 도입되었을 때 한약 연구개발(74.60점), 사회정책수립(73.68점)은 한의학 적용분야에 대한 평균 예측 유용도 점수가 적용분야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상체질과(66.61점)와 한방재활의학과(65.91점)는 다른 한의학 진료분야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응답자들은 비교적 정형적인 분야에서는 AI의 도입이 현실적으로 유용할 수 있는 반면, 비정형적인 분야에서는 어려울 것이라고 판단했다.
영문 초록
The online questionnaire platform was conducted with Korean medicine doctors to analyses the recognition of applica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to the field of application and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Most of all respondents did not have a chance to participate academic experience or research experience related to AI, but had a high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further learning and research. The level of AI understanding was supervised learning When AI is introduced to Korean medicine, the mean predicted usefulness scores to each application fiel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oriental medicine(74.60 points) and social policy establishment(73.68 point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of Korean medicine field of application, while those of Sasang constitutional department(66.61 points) and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65.91 points) were evaluated higher than other fields of treatment of Korean medicine. Respondents judged that the introduction of AI could be realistically useful in relatively formal fields of Korean medicine, while it would be difficult in non-formal field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들의 신종감염병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COVID-19 시기 간호 전공자의 건강신념,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및 예방적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 일본 치위생 교육과정 복수전공
- IPA를 활용한 보건의료직 종사자의 업무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최종학교 기여도 인식 분석
- 간호대학생의 보건의료법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 드론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실종자 탐색에 관한 연구
- 전북지역 거주 선천성기형 환자의 서울·수도권 의료이용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집중이수제로 운영된 간호캡스톤디자인 수업 사례
- 2019 개정 누리과정 준비 및 실행 과정에서의 초임교사의 경험
- 보육교사의 안전돌봄 실천행위 측정 도구 개발
- 담배가격 인상에 따른 흡연율 및 금연계획의 변화
- 한의사의 진료분야와 의료 적용분야의 AI 도입과 유용도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 캡사이신 유발 통증 시 VR 중재가 스트레스 해소 및 이완에 미치는 효과
- WiFi MAC을 이용한 병원시설 인원계수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연구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양육태도가 회복탄력성과 학업적소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수혈요법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 만성질환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보건 행태 요인
-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자격증 취득의향 간의 관계 및 자격증 활용가치 인식의 영향
-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의 코로나 및 환자 관련 사회적 스트레스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영향 요인
- 장애인복지론 교과목의 문제중심학습(PBL) 적용에 관한 연구
- 온천욕이 근방추와 인체 균형에 미치는 효과
- 의식적 움직임의 가상현상 자극이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고령자 환자의 임플란트 구강건강 기능별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요양병원 인력확보 여부에 따른 고령환자의 의료이용 특성과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코로나백신 접종 영향 요인 및 백신접종에 따른 건강 행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herbal medicine in male factor infertility (Oligoasthenoteratozoospermia) - A case report
- Exploring the Language Education Enjoyment Scale and Its Impact on Learner Engagement
- Bangpungtongsung-san reduces the expression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by blocking activating protein-1 activity in stimulated human mast cell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